ECB 첫 '기후변화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저탄소 경제 이행 비용<기후변화 비용
유럽중앙은행(ECB)이 22일(현지시간) 첫 기후변화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저탄소 경제로 이행하는 데 드는 비용이 기후변화의 대가보다 적다는 게 결론이다.
ECB는 역내 230만개 기업과 1600개 은행의 자료를 근거로 세 가지 시나리오가 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전 세계 190여개국이 2015년 채택한 파리협정의 목표를 기준으로 삼았다.
파리협정은 산업혁명 이후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폭을 2도보다 상당히 낮게 유지하자는 게 골자다. 더 가깝게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0)로 줄이는 '넷제로'(탄소중립)를 달성해 기온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한다는 목표다.
유럽연합(EU)은 지난 7월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중간단계 조치로 2030년까지 역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기 위한 정책 패키지, '핏 포 55'(Fit for 55)를 공식 발표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질서정연한 저탄소 경제 이행을 통해 산업혁명 이후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하는 경우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무질서한 이행. 2030년까지 저탄소 경제 실현을 위한 행동을 미루다 지구 기온 상승폭을 2도로 제한하느라 허겁지겁 정책 전환에 나서는 경우다. 그만큼 큰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지구온난화에 더 이상 대응하지 않는 상황을 전제로 한 마지막 시나리오는 이번 세기 말까지 산불과 홍수 등 더 빈번하고 극심한 자연재해를 예고했다. 이에 따른 비용이 유로존(유로화 사용국) 국내총생산(GDP)의 10%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비해 저탄소 경제 이행 과정에서 드는 비용은 유로존 GDP의 2%를 넘지 않을 것으로 ECB는 내다봤다.
ECB는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담은 보고서에서 "(저탄소 경제) 이행에 따른 단기적인 비용을 제한받지 않는 기후변화의 중장기적 비용과 비교하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질서정연한 저탄소 경제 전환 과정에서는 4~5년에 걸쳐 유로존 기업들의 채무 부담과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이 평균적으로 커지고, 수익은 줄 겠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탄소세, 친환경 기술 도입 등에 따른 비용 탓이다. ECB는 다만 이 기간이 지나면 저탄소 경제의 이익이 실현되기 시작할 것으로 기대했다.
저탄소 경제 이행이 무질서하게 이뤄지면 2050년까지 기업들의 수익이 20% 넘게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디폴트 가능성도 2% 이상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구온난화에 손을 놓는 경우에는 기업 수익이 40% 줄고, 디폴트 가능성은 6%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 [포커스]EU '탄소발자국' 줄이기...'핏포55' 뭐길래
- [인사이트]기후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이유
- 돌이킬 수 없는 변화 시작됐다...'2050 넷제로'가 살 길
- [ESG]허리케인 겪고도 기후변화 못 믿는 미국인들
- [인사이트]치솟는 유럽 전기값...'넷제로'의 함정
- 현대엔지니어링, '1천억' 러시아 가스처리시설 협약식
- NH농협은행, 캄보디아서 '코로나 기부'…농업·금융 교육 등 현지화 강화
- [단독]하나대체·NH투자, 네덜란드 오피스 투자 '대박'…'600억' 차익 기대
- [인사이트]'딥 페이크'는 포르노?…가상인간 기술로 발전 중
- [포커스]"공장이 멈췄다"...에버그란데에 가린 中전력난
- [인사이트]금융위기 뇌관 MBS와 ESG 닮은꼴...'거품' 경고등
- [ESG]"아이들이 무슨 죄라고"...탄소중립이 시급한 이유
- [1.5℃ 생활혁명]'먹고, 살고, 타고'의 탄소발자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