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금리인상 뒤 양적긴축 예고...회의마다 추가 긴축 가능성 시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앞으로 열리는 모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때마다 금리인상 등 추가 긴축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당장 3월에는 2018년 이후 첫 금리인상을 예고했다.
연준은 첫 금리인상 뒤에 양적완화(자산매입)로 불린 장부상 자산을 줄이는 양적긴축(QT)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의 성향이 매파(통화긴축 지지) 쪽으로 더 기울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3월 양적완화 중단, 금리인상 단행
연준은 26일(현지시간) 이틀간의 FOMC 정례회의 끝에 만장일치로 제로금리 등 기존 통화정책을 고수하기로 했다.
연준은 회의 뒤에 발표한 성명에서 "위원회는 2%를 크게 웃도는 물가상승률과 강력한 노동시장을 바탕으로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인상하는 게 곧 적절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온라인 회견에서 "(여건이 마련되면) 위원회는 오는 3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높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인상 배경에 대해 연준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첫 금리인상에 나선 2015년 말에 비해 최근 경제환경은 양호하고 물가상승률은 크게 높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7.0%(전년동기대비)로 198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실업률은 3.9%로 팬데믹 사태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파월은 "이런 차이는 정책조정 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번에는 금리인상에 더 속도를 낼 것임을 시사했다.
◇FOMC 회의마다 추가 긴축 가능성 시사
그는 특히 "FOMC 위원들이 통화정책 향방에 대해 아직 어떤 결정도 하지 않았다"며 "가능한 모든 결과에 대응하려면 민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지속될 가능성을 비롯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여 적절한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3월 이후 모든 FOMC 정례회의에서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추가 긴축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셈이라고 풀이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최근 연준의 올해 기준금리 인상 횟수가 당초 예고한 3번을 훌쩍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올해 남은 FOMC 일정은 △3월 15~16일 △5월 3~4일 △6월 14~15일 △7월 26~27일 △9월 20~21일 △11월 1~2일 △12월 13~14일 등 7번이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6~7번 인상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헤지펀드 매니저인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 같은 이는 연준이 시장에 '충격과 공포'를 줘야 '인플레이션 파이터'(inflation fighter)로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를 단숨에 0.50%포인트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리인상 폭을 평소의 2배로 키워야 한다는 얘기다.
닐 두타 르네상스마크로리서치 경제리서치 책임자는 이날 블룸버그에 "파월의 회견 어조가 매파적"이라며 연준이 실업률 하락보다 물가상승률 앙등을 더 문제 삼아 금리인상 속도를 더 높일 태세라고 지적했다.
◇양적긴축...속도는 빨리, 방식은 그대로
한편 연준은 이날 양적완화 규모를 줄이는 테이퍼링을 예정대로 진행해 3월 초에 양적완화를 완전히 중단한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남은 과제는 양적완화로 불어난 자산을 줄이는 양적긴축이다.
파월은 금리인상에 이어 양적긴축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팬데믹 사태 이후 양적완화로 연준의 보유 자산은 약 9조달러로 두 배 늘었다. 파월은 이를 "대폭 축소할 필요가 있다"며 "더 빨리 움직여도 좋다"고 밝혔다. 금융위기 이후 양적긴축은 첫 금리인상 이후 2년 가까이 지나 시작됐다.
파월은 양적긴축 방식에 대해서는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줄여 나가겠다"며 국채 등을 직접 내다 팔지 않고, 재투자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여 시장 혼란을 최소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 [익스플레인]美연준 '매파본색' 정점...'양적긴축' 뭐길래
- [포커스]美금리상승 어쩌나..."도처에서 거품이 터지고 있다"
- [포커스]"인플레이션 위협 앞에 '좌우'는 없었다"-2022전미경제학회
- [인사이트]"美기준금리 1.5% 넘으면 위험"...新채권왕의 경고
- [인사이트]"파월은 볼커 근처에도 못 가"...94살 '닥터둠'의 경고
- [인사이트]7번 연속 금리인상 브라질의 '악몽'
- [글로벌마켓 브리핑]美금리인상 說說說..."결국 인플레이션에 달렸다"
- [글로벌마켓 브리핑]진짜 리스크는 '양적긴축'...장기금리 뛴다
- [포커스]연준 '매파' 로드맵에 놀란 亞증시...조정에 약세장까지
- [인사이트]'파월풋' 비상벨 울리나..."한참 더 떨어져야"
- [글로벌마켓 브리핑]'항복' 모르는 투자자들...美증시 자금 '밀물'
- [포커스]美금리인상 올해 도대체 몇 번?...월가 '눈치경쟁'
- [인사이트]美연준 '충격과 공포' 현실화?...힘받는 '50bp' 금리인상설
- [글로벌마켓 주간이슈PICK]美고용지표 나빠진다는데...
- [인사이트]애크먼 "연준 당장 내일부터 100bp 올리는 편이 낫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