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미국인 10명 가운데 1명 이상이 지난 1년 동안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거래했다. 투자열기는 증시의 절반 수준이었지만, 암호화폐시장은 보다 다양한 이들의 투자처로 부상했다. 미국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NORC)가 지난달 24~28일 미국 성인 1004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얻은 결론이다.

◇'투자문턱' 낮은 암호화폐시장 

NORC가 22일(현지시간) 조사 결과를 담아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사거나 판 이는 전체의 13%쯤 됐다. 같은 기간 주식을 거래한 이는 이보다 많은 24%였다.

주목할 건 투자자 면면의 다양성이다. 시장의 다양성은 증시가 암호화폐시장을 압도하지만, 암호화폐시장에는 증시보다 더 다양한 이들이 참여했다.

지난 1년간 암호화폐시장에 참여한 이들 가운데 여성과 유색인종 비중이 각각 41%, 44%였다. 또 연소득 6만달러 미만인 이가 35%를 차지했다. 대학 졸업자는 45%였다.

이에 비해 주식 투자자 가운데 여성과 유색인종은 각각 38%, 35%에 그쳤다. 연간 6만달러 이상 벌지 못하는 이도 27%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 대졸자 비중은 51%로 절반이 넘었다. 증시의 문턱이 더 높은 셈이다.

투자자 나이도 암호화폐시장이 평균 38세도 증시(47세)보다 훨씬 낮았다. 

최근 1년 암호화폐·주식 투자자 면면/자료=미국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
최근 1년 암호화폐·주식 투자자 면면/자료=미국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

◇투자 초보들 온라인에 정보 의존

안젤라 폰테 NORC 경제·정의·사회 부문 부소장은 "암호화폐가 보다 다양한 이들에게 투자기회를 열어젖혔다"며 "이는 매우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의 변동성이 큰 만큼 이들이 투자결정을 할 때 좋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1년간 암호화폐 거래를 한 이들 가운데는 초보자 비중이 절대적이다. 투자를 시작한 지 반 년도 안 된 이가 61%나 됐다. 

이런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대개 정보를 인터넷에 의존했다. 온라인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투자정보를 얻는다는 이가 26%로 가장 많았고, 피델리티나 로빈후드 등 온라인 거래 플랫폼 25%, 소셜미디어를 찾는다는 이가 24%였다. 전문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투자자는 2%에 불과했다.  

◇투자 안 하는 이유? "잘 몰라서"

NORC는 암호화폐에 투자하지 않고 있는 이유도 물었는데, '암호화폐에 대해 잘 모른다'(62%)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35%는 보안을 우려했고, 31%는 '투자방법을 모른다'고 했다. 30%는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을 문제 삼았다. 

또 암호화폐에 아직 투자하지 않은 이들 가운데 1년 안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이는 11%에 불과했다. 

암화화폐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자료=미국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
암화화폐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자료=미국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

마크 러시 NORC 경제·정의·사회 부문 매니저는 이에 대해 "암호화폐가 투자 선택지의 하나로 영향력을 유지하겠지만, 예상가능한 미래에는 (주식 같은) 전통 투자처에 계속 뒤처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암호화폐 대표격인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한 달 사이 3만6000달러가 넘는 고점에서 3만달러 아래 저점까지 20% 수준의 가격 변동성을 보였다. 불과 두 달 전에는 6만달러에 육박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뉴욕증시 다우지수의 최근 1개월 고점과 저점의 차이는 약 3%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