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담·bhc에 이어 교촌도…"소비자 외면 받게 될 것" 우려도
소상공인들의 대표적 자영업종인 프랜차이즈 업계의 본사와 가맹점간 불협화음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원재료값 및 배달수수료 인상분에 대한 부담을 과도하게 떠넘긴다는 일부 가맹점들의 불만 등이 소송 등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대표적. 여기에 본사의 일방적인 매장 인테리어 추진, 할인 이벤트 진행 등에 대한 논란도 프랜차이즈 업계 일각에서 지속되는 상태다. 이같은 논란은 본사와 가맹점간 사전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상생'을 외치며 동반 성장을 내세웠던 프랜차이즈 업계의 약속도 빛바랜 모습이다. 최근 프랜차이즈 업계의 상생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는 사례와 원인 등을 짚어본다.[편집자 주]
배달앱 주문 가격을 매장 가격보다 비싸게 받는 이중가격제가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모양새다.
배달 수수료 상한제 도입 이전까지 한시 적용될 전망이고 원가 상승 여파도 반영됐다는 일각의 분석도 있지만 '동일 제품을 다른 가격으로 구입하다는 점이 불합리한 만큼 소비자들의 불만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지역 교촌치킨 가맹점주는 지난 19일부터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에서 허니콤보와 레드콤보, 간장콤보, 반반콤보 가격을 2000원 인상해 판매하고 있다. 허니콤보의 가격은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랐다.
교촌치킨 가맹점주협의회는 서울 지역 가맹점의 90% 이상이 가격을 올린 것으로 파악했다.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따른 이번 가격 인상은 교촌치킨 본사와 서울 지역 가맹점주의 협의에 따른 조치다. 매장이나 교촌치킨 전용앱에서 판매되는 치킨 가격은 오르지 않았다.
서울 지역 외 교촌치킨 가맹점주는 가맹본사가 정한 권장 소비자 가격을 따르거나, 가맹 본사와 별도 협의 없이 약 2000~3000원씩 배달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맹사업법상 가맹본사는 가맹점주에게 상품 가격 설정을 강제할 수 없다. 대다수 프랜차이즈는 가맹본사가 권장 소비자 가격을 정하면 점주들이 이를 따르는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앞서 자담치킨은 치킨 브랜드 중 처음으로 지난 4월부터 이중가격제를 도입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2000원 높게 책정했다.
bhc치킨 가맹본사도 지난 6월부터 점주가 배달 치킨 가격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자 상당수 가맹점이 가격을 약 2000원 올렸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버거킹, 맘스터치, KFC 등도 배달 메뉴 가격이 더 비싸다.
배달앱 플랫폼 측에서는 가맹점주들의 이중가격제 시도에 대해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오른 가격에 대응해 할인 쿠폰 발행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가격에 대해서는 가맹본부와 가맹점주 간 합의에 따른 것으로 플랫폼이 개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추후 배달 수수료 상한제가 적용되면 이중가격제는 차차 안정 후 소멸 단계에 접어들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장명균 호서대 경영대 교수는 "소비자는 매장과 배달앱에서 가격이 다르게 매겨지는 차별화에 대해 불합리하게 느낄 것이고 이중가격제는 차차 외면받게 될 것"이라며 "배달 수수료 상한제 제도가 결정될 때까지 이중가격제가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모양새가 나타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시장의 시각이 배달 수수료에만 몰려 있지만 이번 가격 인상은 사실상 원가 상승에 따른 결과라는 지적도 나왔다.
장 교수는 "일반 소비자들은 배달료 부담 때문에 이중가격제가 도입됐다고 느끼겠지만 실질적으로 이번 사안은 원가 상승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가격 형성 정보에 대해 소비자가 충분히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 [빛바랜 상생①/치킨프랜차이즈]본사·가맹점간…'소송전' 이어지는 치킨 업계
- [빛바랜 상생②/커피프랜차이즈]'불공정계약'에도…가맹점주는 '벙어리 냉가슴'
- [빛바랜 상생③/피자프랜차이즈]급기야 칼부림 사태까지…갈데까지 간 본부-점주 갈등
- [빛바랜 상생④/가맹점주]온플법·단체협상권 제정 시도…노조급 협상력 갖출까
- [빛바랜 상생⑤/온라인플랫폼법]예상 밖 美관세 태클…"수수료 상한제라도 추진"
- [빛바랜 상생⑥/공정위]점주 단체협상권 보장한다…획기적 대책 발표
- [빛바랜 상생⑦/플랫폼수수료]코로나 시기 배달수수료 상한제 실험한 美…결과는 '부정적'
- [빛바랜 상생⑧/배달라이더]수수료 상한제, 배달 품질에 직격타
- "소비자들 배달비 1400원 추가 부담 가능"…한국상품학회 정책포럼
- [빛바랜 상생⑩/자영업]플랫폼보다 자영업 과잉이 '상생 갈등'의 근본 원인 지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