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퍼블리카, 美부유층 납세기록 공개…차입금 이자로 절세도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창업자가 회사의 주가급등으로 주식재산 가치가 치솟았지만, 세금을 거의 내지 않았다는 폭로가 나왔다. 

뉴욕 저널리즘 비영리단체 프로퍼블리카는 8일(현지시간) 베이조스, 머스크를 비롯한 미국의 부유층 납세기록을 입수해 한때 이들이 세금을 전혀 내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프로퍼블리카에 따르면 베이조스는 2007년 아마존닷컴의 주가가 2배 이상 올랐지만 소득세를 한푼도 내지 않앗다. 2011년에는 아마존의 손실로 절세 효과를 누렸다. 또, 그해 자녀 덕분에 4000달러 세금공제를 받았다. 

물론 미국 부유층이 보유한 자산 형태는 주식이나 부동산이 대부분으로 매각이익이 실현하지 않으면 과세소득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하지만 미 경제전문잡지 포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이조스의 재산은 2006~2018년까지 1270억달러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베이조스가 연방세금으로 낸 돈은 14억달러다. 베이조스의 주식재산 증가에 대한 세율은 1.1%에 불과하다고 프로퍼블리카는 지적했다. 

자금을 빌려 절세하는 기법도 있다. 저명한 주주행동주의 투자자 칼 아이칸은 2016~2017년 총소득이 늘었지만 세금을 내지 않았다. 막대한 돈을 빌려 차입금 이자로 낸 돈이 수입을 초과했기 때문이다. 

투자현인 워런 버핏, 블룸버그통신 창업자 마이클 블룸버그, 머스크의 납세 기록도 프로퍼블리카는 일부 공개했다. 

미국 상위 25명의 최고 부자들이 가진 재산은 2014~2018년 4010억달러 늘었지만, 미국 연방소득세로 지불된 금액은 136억달러에 그쳤다. 이들의 재산 증가분에 대한 과세율은 3.4 %에 그쳤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재산보다 근로 소득에 대한 과세에 중점을 두고 있의 부유층의 재산이 더 많이 축적된다고 프로퍼블리카는 지적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부자 증세의 시동이 걸렸다. 연방 소득세의 최고세율은 37%에서 39.6%로 올리고 연봉 100만다러 이상 부유층이 주식의 양도처분에도 최고세율이 적용하자고 바이든 행정부는 제안한다. 

하지만 프로퍼블리카는 소득세 최고세율을 올려도 납세 금액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 의원은 이에 대해 "우리의 세금은 노동자의 소득에 중점적으로 부과되지만 억만장자는 부정하게 소득을 조작해 세금을 거의 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방의 과세 기준을 보유 자산으로 해야 한다고 워런 의원은 강조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