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월가의 상징인 황소상[사진=UPI·연합뉴스]
미국 뉴욕 월가의 상징인 황소상[사진=UPI·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 다우지수가 24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3만선을 꿰뚫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미국의 평화적 정권 교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시장의 위험투자 성향이 짙어지면서다.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54% 뛴 3만46.24를 기록했다. 

이로써 지수는 2017년 1월 2만선을 넘은 지 약 4년 만에 3만선이라는 새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다우지수가 1999년 3월 처음으로 1만선에 도달해 2만선에 이르기까지는 무려 18년이 걸렸다.

뉴욕증시 다른 주요 지수들도 일제히 큰 폭으로 올랐다. S&P500지수는 3635.41로 1.62%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고, 나스닥지수는 1.31% 뛴 1만2036.79를 기록했다.

다우지수 추이[자료=야후파이낸스]
다우지수 추이[자료=야후파이낸스]

뉴욕증시가 랠리를 펼친 건 코로나19 백신 개발 관련 희소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 측에 대한 정권 이양을 용인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패배를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정권 이양 절차가 시작된 만큼 평화적 정권 교체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시장을 짓눌러온 큰 불확실성 가운데 하나가 누그러진 셈이다.

바이든이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을 재무장관으로 지명할 것이라는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 옐런 전 의장이 통화·재정부양을 강조해온 인물이기 때문이다. 

일련의 호재들은 시장의 위험감수 성향을 자극했다. 금, 달러,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사이 원유와 비트코인이 강세를 나타냈다. 서부텍사산원유(WTI) 선물가격은 이날 한때 3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45달러를 넘어섰고, 비트코인 가격은 2017년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1만9000달러를 돌파했다. 

◇에너지·금융주 주도 '정상화 랠리' 

블룸버그는 이날 다우지수를 3만선으로 끌어올린 최근 랠리를 시장이 정상을 되찾는 과정으로 봤다. 이른바 '정상화 랠리'(back-to-normal rally)다.

팬데믹 사태가 한창일 때 증시 상승을 주도한 건 기술주를 비롯한 성장주였다. 기술주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우지수는 S&P500, 나스닥지수에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다우지수가 주로 담고 있는 에너지, 금융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의 종목들이 고전하게 되면서다.

최근 백신 개발 기대감이 커지면서 그동안 소외돼 저평가됐던 종목들이 다시 증시 랠리를 주도하는 반전이 일어났다. 다우지수는 이달 들어 13%가량 올랐다. 이 추세면 1987년 이후 월간 기준 최고 기록이 될 전망이다. 에너지주와 금융주는 11월에만 각각 40%, 20% 뛰었다.

낙관론자들은 다우지수가 내년에 4만선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