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급 과잉 대응…연 110만t 설비 멈추는 방안 논의
대산 단지 에틸렌 생산량 195만t→85만t로 축소 가능성
정부 자율 감축 목표치의 3분의 1 규모 감축 효과 예상
롯데케미칼이 충남 대산 석유화학단지에서 운영 중인 연간 110만톤(t) 규모 나프타분해설비(NCC)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HD현대케미칼과 공장 통합을 골자로 한 자율 구조조정안 논의가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으며, 조만간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은 대산 석화단지에 각각 보유한 NCC를 통폐합해 HD현대케미칼 공장(연 85만t)만 가동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대산단지 내 설비를 HD현대케미칼에 넘기고, HD현대케미칼은 현금 출자를 통해 합작사를 설립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합작사 지분은 양사가 절반씩 갖는다.
정부는 지난 8월 국내 전체 NCC 총 1470만t 가운데 18~25% 수준인 270만~370만t을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감축하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자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다만 구체적인 감축 방식은 기업 판단에 맡겨져 있어, 업계는 각사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양사 간 통폐합이 이뤄질 경우 대산 석화단지의 에틸렌 생산량은 기존 연 195만t에서 85만t으로 줄어든다. 정부가 설정한 감축 목표의 약 3분의 1이 한 번에 이뤄지는 셈이다.
이번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구조조정안이 구체화되면 여수와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사업재편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울산에서는 대한유화, SK지오센트릭, 에쓰오일 등 3사가 외부 컨설팅 기관의 자문을 받아 사업재편을 추진중이다.
여수 화학단지에서는 LG화학이 GS칼텍스에 NCC를 매각하고 합작회사를 설립해 NCC를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중이다. 롯데케미칼과 여천NCC의 통합은 여천NCC 공동 주주인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의 갈등이 해결된 뒤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사업재편안을 마련한 석유화학 업체들이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활법)을 신청하면 세제 혜택, 금융 지원 등 후속 방안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