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경매접수 건수 올해 3만건 넘어
대출잔액 24조 육박…연체율 2배 뛰어
"병목현상에 캐피탈사 수익성‧건전성 악화 우려"

AI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AI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경매에 나온 매물들 처리가 쌓이면서 '병목현상'으로 캐피탈사의 PF 손실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캐피탈사들은 상업용 부동산에 많이 투자했는데 부실 사업장 정리가 늦어지면서, 업권 전체의 수익성과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12일 여신금융업계와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경매 접수 건수는 올 들어 3만건을 돌파했다. 

이중 아파트 경매의 경우, 2022년 200~300건 안팎이다가 지난해 급증해 올해 700건 안팎을 오가는 수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아파트 낙찰가격이 시가 대비 낮게 형성되면서 우려를 자아낸다. 

그나마 아파트는 안전자산이라서 시세보다 덜 떨어진 것이고, 상업용부동산이 경매에 접수될 경우 낙찰가가 시세를 큰 폭으로 하회할 가능성도 있다.

정윤영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캐피탈사들이 주로 투자한 상업용부동산의 PF 손실은 아파트의 경우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캐피탈사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2020년 13조8000억원에서 2022년 26조8000억원까지 늘었다가 2023년 25조8000억원, 2024년 23조90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에 연체율은 2022년 0.28%에서 2022년 2.20%로 치솟고서 2023년 4.65%, 2024년 4.37%로 두 배 더 뛰었다.

이에 따라 캐피탈사의 수익성 저하가 뒤따를 전망이다. 특히 매물이 경매 접수 후 배당까지 약 1년이 소요되며, 접수 증가에 따른 병목현상으로 경매 기간이 늘어나면 관련 비용이 증가하고 손실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는 가중된다.

정 연구위원은 "여전사의 PF 대출잔액이 여전히 다른 업권보다 높은 규모인데, 병목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며 "지난해부터 캐피탈업의 대손비용이 급증하는 가운데 정부의 부실 PF 정리계획에 따른 부실사업장 상‧매각, 재구조화 등으로 향후 대손비용 확대에 따른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곽노경 NICE신용평가 금융평가2실장은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중 85%는 정리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거래상대방이 있는 경공매와 재구조화의 경우, 계획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곽 실장은 "경기둔화 등으로 부동산 PF 구조조정이 늦춰지면 캐피탈사의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며 "자금조달 시장에서 투자심리를 제고하기 위해 부동산 PF 관련 자산을 중심으로 업계가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해 건전성 지표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