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6개월만에 최고치…"중앙은행의 '비둘기파적 전환'으로 올해 금값 폭등할 것"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국제 금값이 3일(현지시간)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금값이 올해 더 상승할 것으로 믿고 있다.

이날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값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1.1%(19.90달러) 오른 1846.10달러(약 236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6월 16일 이후 6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이다.

금값은 지난해 11월 초부터 시장 불안, 경기침체 예상 증가, 여러 나라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등으로 금 수요가 늘어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은행 삭소방크의 올레 한센 상품전략실장은 이날 미국의 경제 전문 방송 CNBC에 "경기침체와 주식시장의 평가가치 리스크, 다시 말해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가 최고치를 기록하고 달러 약세 및 물가상승률이 올해 안에 예상치 3% 미만으로 돌아오지 않으리라는 전망 등이 서로 맞물려 올해 금값을 부채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여러 나라 중앙은행이 '탈(脫)달러화' 전략 아래 기록적으로 많은 양의 금을 사들인 것도 금값 상승에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국제 금값 추이(온스당 달러) / 자료=트레이딩이코노믹스
국제 금값 추이(온스당 달러) / 자료=트레이딩이코노믹스

전문가들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을 끝내고 이르면 연내 금리인하로 전환하는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 정책전환이 금값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AuAg ESG 골드마이닝 상장지수펀드(ETF)의 에릭 스트랜드 매니저는 지난해 12월 "올해 금값이 온스당 2100달러도 넘어서는 등 역대 최고가를 찍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금값 강세장의 시작을 알린 것이다.

스트랜드 매니저는 "금융위기 이후 여러 나라 중앙은행이 금을 계속 사들여 지난해 3분기 결국 최고 보유고에 이르렀다"며 "중앙은행들이 올해 비둘기파적으로 전환(dovish pivot)하면서 향후 몇 년간 금값의 폭발적인 움직임을 촉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올해 말이면 금값이 지금보다 20% 더 뛰어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진수 선임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