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11시 기준 7600만원대 횡보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가상자산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의 전망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 현물 승인 보류에도 기대감은 여전한 데다 지난 2017년 세그윗 업데이트 이후 4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업그레이드까지 겹쳐 가격 상승을 점치는 투자자들이 상당하다. 다만, 투자자들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시세는 아직 7600만원 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탭루트(Taproot)' 완료…스마트계약 가능해진다

16일 가상자산 채굴 및 거래 플랫폼인 나이스해시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전날인 15일 블록체인 업그레이드 '탭루트(Taproot)'를 완료했다. 탭루트 업그레이드는 체인을 완전히 분리하는 '하드포크'와는 달리 일부 사항만 추가해 개선된 '소프트포크'다. 하드포크가 아이폰을 안드로이드폰으로 바꾼다는 개념이라면, 소프트포크는 안드로이드 OS 업데이트로 보면 된다.

탭루트 업그레이드는 비트코인 거래 시 개인정보 보호 및 효율성 강화를 위해 이뤄졌다. 업그레이드를 통해 단연 관심을 끄는 대목은 스마트 계약의 가능성이 열렸다는 점이다. 현재 스마트 계약은 비트코인의 핵심 프로토콜층과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 만들 수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결제 플랫폼으로 즉각적인 거래가 가능하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 스마트계약이 이뤄질 경우 더 빠르고 저렴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에는 비트코인 서명의 확장성을 개선하고 검증 속도도 향상 가능한 '슈노르 서명' 기능도 포함됐다. 슈노르 서명이란 한 주소에 별도의 거래가 각각 기록되던 것을 하나의 키로 묶어 하나의 거래로 인식하도록 하는 다중 서명을 일컫는다. 다중 서명에 추가할 수 있는 구성원 수의 제한도 없어져 더욱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적인 내용은 다소 복잡하지만 결론적으로 중요한 점은 거래 수수료가 낮아진다는 점이다.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는 더 많은 처리량이 생길수록 증가한다. 효율성이 올라간다면 수수료가 낮아지면서 네트워크상에서 더 많은 거래가 이뤄지게 된다. 비트코인 가맹점 채택도 잇따를 수밖에 없다. 이미 해외에서는 가상자산 결제를 속속 도입하는 추이다. 가장 최근에는 미국 최대 영화관 체인 AMC가 가상자산 결제 서비스에 가세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지난 15일 블록체인 업그레이드 '탭루트(Taproot)'를 완료했다. /사진=픽사베이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지난 15일 블록체인 업그레이드 '탭루트(Taproot)'를 완료했다. /사진=픽사베이

◇정치권 2030세대 표심 잡기…가상자산 과세 유예 가능성 '솔솔'

하지만 투자자들의 기대감에도 비트코인 시세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 가격에 반영됐고, 막상 탭루트가 작동하자 기대감이 사라졌다는 게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의 분석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을 보류한 점도 당장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분류된다. SEC는 지난 12일 글로벌 투자운용사 반에크가 제출한 비트코인 직접 투자 현물 ETF 승인을 보류했다. 사기 거래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ETF는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투자신탁상품이다. 비트코인 선물 ETF를 통해 비트코인 상품의 제도권 진입이 일부 실현됐지만, 시장에서는 현물 ETF 상품을 통해 주식시장의 개인투자자가 가상자산에 진입해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제도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세 조종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안전장치가 마련된다면 SEC의 승인도 가능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캐나다와 일부 유럽 국가들의 경우 가상자산 현물 ETF를 승인한 바 있다.

국내의 경우, 정치권이 가상자산 과세 유예를 논의하면서 시장 활성화에 불을 붙이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국회에서는 가상자산에 세금을 매기는 소득세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개정안에는 내년 1월 1일부터 가상자산 양도차익을 기타소득으로 분류하고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 세율 20%를 적용해 분리 과세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내년 대선을 앞두고 여야는  2030세대의 표심을 잡기 위해 과세 유예를 적극 밀어붙이고 있다. 다른 금융 투자 소득과 마찬가지로 5000만원을 기본 공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승장은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이지만 스마트 계약이 본격화되면 추가 상승이 점쳐진다. 과세 유예 또한 기정사실화되고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 투자 비중이 높은 2030세대들의 투자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