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회의서 정책금리 1.0~1.25%로 올릴 전망..연내 1차례 추가인상 가능성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6월 정책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국내 기준금리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준의 금리인상이 한국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운용의 폭을 좁힐 수 있는 탓이다.
14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의하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9.6%로 예상했다. 국내 증시 전문가들 역시 14일 미국 연준이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75∼1.0%에서 1.0∼1.25%로 0.25%포인트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연내 한 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은 이번 6월 FOMC 회의를 포함해 두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면서 "추가 인상 시기는 9월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6월 이후 올해 한 차례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연말부터 자산축소 논의를 시작해야 해서 12월보다는 9월에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예정대로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게 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연 1.25%인 우리나라와 같아진다. 미국이 올해 하반기에 한 번 더 올리면, 한미 간 기준금리는 10년 만에 역전된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 상승세에 가속도가 붙으면 이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후 올해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2배 가까이,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4배 가까이씩 뛰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준의 금리인상 후 은행권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5차례 기준금리를 내리기만 했던 이주열 한은 총재 또한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상태다. 지난 13일 한은 창립 67주년 행사에서 이 총재는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경제 상황이 개선되면'이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앞으로 장기적인 기준금리 정책 기조가 바뀔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은의 금리인상은 시중금리 급등을 불러 경기 부진 및 가계의 이자부담 증가를 유발할 위험이 높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은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부채 보유가구의 연 평균 이자비용은 308만원에서 476만원으로 168만원 증가한다.
특히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초과하는 한계가구는 803만원에서 1135만원으로 332만원 늘어난다. 현재 가계대출의 71.6%가 변동금리대출이며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절반 이상이라 그 위험성이 심각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급격하게 뛰어오르면 저소득층의 가계부채부터 부실화 위험에 노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총 1359조7000억원에 달한다. 전년 말 대비 17조1000억원이나 뛰었다. 1400조원 돌파도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세계적으로도 그 규모와 증가 속도가 모두 상위권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92.8%로 전년 말 대비 4.7%포인트 올랐다. 92.8%는 조사대상국 가운데 8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 2011년(13위)에 비해 순위가 5계단이나 상승했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5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치)'를 보더라도 지난달 1·2금융권을 통틀어 가계부채 규모는 10조원이나 늘어났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3월 3조원 늘어난 데 이어 지난달엔 6조3000억원으로 배 이상 급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매우 높은 것은 물론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과거 10년간 증가 속도가 몹시 빠르다"면서 "대부분의 가계대출이 만기 일시상환 또는 변동금리라는 위험한 상환구조라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