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의 비상장 건설사 현대엔지니어링이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장외 시가총액이 7조원이 넘는 이 회사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분 11.72%를 보유하고 있어 IPO를 계기로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속도가 날지도 주목된다.
13일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달 9일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코스피 상장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EP)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글로벌 시장에서 신인도 제고와 자금조달 유연성 확보 등을 위해 IPO를 검토 중"이라며 "최적의 시기에 법규와 절차에 따라 IPO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통상 REP 접수 후 6개월 안에 상장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연내 코스피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1974년 설립된 현대엔지니어링은 1980년대 한라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엔지니어링센터, 현대건설 해외건설 사업본부 설계팀을 흡수합병하며 몸집을 키웠다. 2014년에는 현대엠코를 흡수합병하며 플랜트, 건축, 인프라 사업 전문 회사로 성장했다.
지난해 매출은 연결기준 7조1884억원, 영업이익 2587억원 규모다. 비상장 주식 시세는 주당 100만원 안팎에 형성돼 있어 현재 시가 총액은 7조5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최대주주는 지분 38.62%를 보유한 현대건설이다. 2대 주주는 정의선 회장(11.72%)이며 현대글로비스(11.67%)와 기아(9.35%), 현대모비스(9.35%) 등 그룹 주요 계열사도 지분을 갖고 있다. 정몽구 그룹 명예회장도 4.68%의 지분이 있다.
재계에서는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오래전부터 현대엔지니어링의 IPO 가능성에 주목해왔다.
재계 관계자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상장되면 정 회장의 현대엔지니어링 지분 가치가 극대화돼 경영권 승계를 위한 실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IPO 후 보유 지분 매각 등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IPO는 회사의 미래 성장 기반 마련과 기업 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관련기사
- [단독]현대엔지니어링, 러시아 '2.8조' 석화플랜트 잭팟 노린다
- 현대차, '코나EV' 앞세워 대만 전기차 시장 공략 시동
- 현대차, 캐나다서 '여성을 위한 최고의 직장' 선정
- [단독]현대차, 4월 2일 중국서 제네시스 정식 공개…고급차 시장 노린다
- [단독]현대건설, 싱가포르 수주 낭보…동남아 최대 지하 변전소 시공사 선정
- [단독]현대차, 인도 수소차 시범사업 참여 추진…시장 선점 노린다
- 현대건설-알스톰 컨소, '2.8조' 이라크 바그다드 도시철도 수주 초읽기
- 현대차 스페인, BNP파리바와 오토론 협력 2년 연장
- '현대건설 수주' 필리핀 남북철도 1공구 사업 시작…철거 작업 진행
- '현대차 투자' V2X 기업 오토톡스 나스닥 상장 추진
- [ESG]현대엔지니어링, 지진 피해 印尼 마을에 '희망' 세웠다
- [단독]한화그룹, 홋카이도 히라후 리조트 착공
- [단독]'GS그룹 벤처캐피탈' GS퓨처스. 美 에너지전환펀드에 첫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