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미국 등 잇달아 중국 IT제품 금지…한국은?

출처 : Martin Abegglen 플리커

중국 IT(정보통신) 제품은 중국 공산당을 위한 스파이일까? 적어도 미국 등 일부 나라는 그렇게 믿는 것 같다. 중국 정부가 해외 수출용 IT 제품에 각종 백도어(정보 전송 스파이 프로그램)를 심어 민감한 정보를 빼낸다고 의심하고 있다. 

호주 국방부는 최근 자국 군인들에 중국 최대 메신저 위챗을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위챗은 중국 내 이용자만 10억명에 달하는 메신저로 호주에서도 점차 사용자가 늘고 있다. 하지만 위챗 운영사인 텐센트가 중국 정부의 검열 정책에 따라 정치적으로 민감한 대화 내용 등을 정부에 제공하고 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중국 IT 제품을 가장 경계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지난달 미국 상원은 미국 정부가 중국의 화웨이나 ZTE의 통신장비를 구매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사실상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이들 기업이 통신 장비를 이용해 미국의 국가기밀이나 기업의 기술정보를 빼돌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미국은 심지어 통신사를 통한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도 금지했으며, 중국계 반도체 회사 브로드컴의 퀄컴 인수에도 제동을 걸었다. 지난해 8월에는 미국 육군이 중국 드론업체 DJI의 드론 사용도 금지했다. 

또한 미국 국토안보부는 지난해 중국 폐쇄회로(CC)TV 제조사 하이크비전의 감시카메라를 정보 유출 통로로 지목했다. 하이크비전은 중국 정부가 지분 40% 이상을 보유한 사실상 국유기업이다. 중국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하이크비전 CCTV를 이용해 정보를 모을 수 있는 셈이다. 

이밖에 포스캠의 IP카메라, 맨티스텍의 게임용 키보드, 원플러스의 스마트폰 등 수 많은 중국 제품이 사용자 동의 없이 민감한 정보를 빼돌릴 수 있는 통로로 지목됐다.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어떨까? 안타깝게도 무방비 상태다. 특히 화웨이는 국내 통신시장에서 야금야금 영역을 넓히고 있다. 지난달 열린 평창동계올림픽에도 화웨이 제품이 공급됐다. 위챗 등 중국 IT 서비스도 한국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물론 중국 IT 기업들이 다른 나라의 기밀을 빼간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 화웨이 등도 이 같은 가능성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이미 세계 최대 IT 생산국으로 도약한 중국 제품을 무조건 배척할 수도 없다. 

그럼에도 대책은 필요해 보인다. 특히 군대와 기업 등 기밀을 다루는 곳에서는 최대한 조심할 필요성이 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