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연구소, 영세 중소가맹점 매출액 변화 분석

신한카드의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영세 가맹점(연 매출 3억원 이하)과 일반 가맹점의 경제고충지수는 각각 87.9, 81.3으로 집계됐다. / 사진=신한카드
신한카드의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영세 가맹점(연 매출 3억원 이하)과 일반 가맹점의 경제고충지수는 각각 87.9, 81.3으로 집계됐다. / 사진=신한카드

신한카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영세 중소가맹점 매출이 늘고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전 3개월 평균과 지급 후 1개월간 영세 중소가맹점의 매출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의 매출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규모별로는 연 매출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가맹점에서 6.4%,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는 5.9%,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는 6.5%를 기록했다. 규모가 작은 영세 가맹점일수록 매출 증가효과가 중소 가맹점보다 2배 이상 컸다.

매출 증가에 따라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늘었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주의 인당 카드 이용액은 12.6% 증가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5억원 이하 가맹점주와 1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각각 8.8%, 2.6% 늘어나는데 그쳤다. 3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오히려 0.2% 감소해 가맹점 규모가 작을수록 가맹점주의 소비여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맹점주들은 일반 개인과 달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가맹점 홍보용 광고대행사 지출이나 일반 사무용품 구매 등 사업 필요 경비로 활용하는 경향도 보였다.

신한카드의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영세 가맹점(연 매출 3억원 이하)과 일반 가맹점의 경제고충지수는 각각 87.9, 81.3으로 집계됐다. 올해 4월 이후 지속 하락하는 추세로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는 카드 데이터를 비롯한 미시 경제지표 15개와 거시 경제지표 5개를 결합해 사업운영 관련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고충을 표준화한 지수다. 수치가 높을수록 소상공인의 경제적 고충이 높음을 의미한다. 작년 금융위원회 '서민, 자영업자 지원방안 마련 태스크포스(TF)'에서 처음 제시됐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 국민에게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진작 효과뿐만 아니라 경제 선순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