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금리 인하 가능성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8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정부의 6·27 대책 이후 주택가격과 가계대출 증가세는 완화됐으나 여전히 서울 일부 지역에선 신고가 계약 체결이 잇따르는 점이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금통위 결정은 시장 전망과 부합했다. 금융투자협회 설문조사 결과 참여자의 84%가 현 금리 수준 유지를 예상했고, 채권시장 전문가들도 가계부채 증가와 주택시장 불안, 환율 변동성 심화를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분석했다.
가계대출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2조8000억원 늘어나며 6월(6조2000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증가 폭이 줄었지만, 6·27 대책 이전 급증한 주택 매매 계약 관련 대출이 시차를 두고 계속 실행되고 있어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해 "과열 양상을 보였던 수도권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6·27 대책 이후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지만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높은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의 역대 최대 금리 격차(2.0%포인트)도 동결 결정의 중요한 근거가 됐다. 다음달 연방준비제도 정책회의에서 미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하락할 전망이 나오지만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추가 인하를 시행했을 경우 양국 간 금리 차이는 2.25%포인트까지 확대될 위험이 있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후 내수 심리가 개선되고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도 동결 결정의 배경이었다. 한은의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4로 7월(110.8)보다 0.6포인트 올라 2018년 1월(111.6) 이후 7년7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실질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을 0.9%로 전망한 만큼 경기 부양을 위해 연내 추가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시장은 금통위가 10월께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가계대출·집값 추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후 한·미 금리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미국 관세 협상 전개 상황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어서다.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