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물에 대한 권리 확보…수익 다각화에도 중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4' / 사진=연합뉴스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4' / 사진=연합뉴스

국내 주요 게임업체들이 인기 게임의 지식재산권(IP)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흥행 IP를 많이 보유할수록 매출 호조를 담보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그럼 게임 IP란 무엇일까.

◇게임 IP

게임 IP(Intelectual Property)는 게임에서 사용하는 세계관·캐릭터·스토리·그래픽·음악·로고 등 창작물이 가진 권리를 뜻한다. 게임을 만들고 서비스하면서 발생하는 고유의 창작물과 그 소유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라고 보면 된다.

◇게임 IP 왜 중요한가

게임회사들은 수익 다각화에 게임 IP를 활용한다. 게임 이외에도 굿즈나 영화, 애니메이션, 웹툰, 드라마, 테마파크 등 게임 IP를 다방면에 적용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인기 게임의 고정 팬층이 두터울수록 이같은 수익 다각화 전략은 효과를 낸다.

게임 유저들은 자신이 플레이하는 게임의 캐릭터나 세계관에 애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충성도를 보이고 해당 게임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들에 관심을 보인다.

한 번 인기 게임 반열에 오르면 해당 게임 IP를 후속작이나 리메이크, 리마스터, 컬래버 게임에 두고두고 활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또는 타회사에 게임 IP 라이센스를 주고 판권 거래를 통해 로열티 수익을 낼 수도 있다. 미국 거대 게임기업 에픽게임즈에 마블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 컬래버레이션도 가능하다.

◇게임 IP 활용 현황

해외에서는 인기 게임 대작을 활용한 거대한 IP 비즈니스가 형성돼 있다.

닌텐도는 '마리오' '젤다' '포켓몬' 등의 게임 IP를 게임 이외에 영화, 테마파크 등으로 확장해 인기를 끌고 있다.

블리자드는 '워크래프트' '오버워치'를 애니메이션과 만화로도 제작했다.

국내에서도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를 애니메이션·테마파크·굿즈로 확장하고 있고 넷마블은 '세븐나이츠' '모두의마블' 캐릭터를 외부와 컬래버한다. 카카오게임즈는 '프렌즈게임' 시리즈를 카카오프렌즈 굿즈 사업으로 확대 중이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게임업체들이 게임 IP 확보 경쟁을 하는 이유는?

게임회사들이 게임 IP 확보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무엇보다 신작 실패 리스크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서다.

완전히 새로운 게임을 개발할 경우에는 흥행 여부를 담보할 수 없고, 마케팅 비용도 크게 들어간다. 

반면에 이미 고정 팬층이 있는 기존 게임 IP는 어느 정도 흥행을 담보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개발 투자가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플랫폼 진입을 수월하게 해준다. 기존 게임 IP를 신규 플랫폼에 적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넥슨은 모바일 게임으로 과거 인기작인 '던전앤파이터' '바람의 나라'를 선보이며 이들 게임 IP를 재활용했다.

'포켓몬'은 닌텐도 콘솔 게임으로 시작했지만, 모바일 게임 '포켓몬GO'와 굿즈, 애니메이션으로 시장을 넓히고 있다.

또 다른 이유는 게임 IP 자체가 '브랜드'가 된다는 점이다.

인기 게임 IP의 캐릭터·세계관·문화가 영화나 드라마, 굿즈, 테마파크까지 확장 가능한 것은 해당 게임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로서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른 마케팅 효과를 볼 수 있다.

인기 게임 IP는 인지도를 바탕으로 해외에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마케팅할 수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신작 출시 리스크를 감당하기보다 기존 인기 게임 IP를 다각도로 장기간 활용하며 수익을 내는 것이 더 중요해진 시대"라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