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제련소' 전환…현장 안전·관리 효율 강화

고려아연이 온산제련소 현장 안전 관리에 도입한 4족보행 로봇 '스팟'./사진=고려아연
고려아연이 온산제련소 현장 안전 관리에 도입한 4족보행 로봇 '스팟'./사진=고려아연

고려아연은 온산제련소 현장 안전과 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해 로봇제조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보행 로봇 '스팟'을 도입했다고 5일 밝혔다. 전 세계 제련소 중 스팟을 도입한 것은 온산제련소가 최초다.

스팟은 사람이 접근하기가 위험하고 어려운 현장을 누비며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최첨단 산업용 로봇이다. 현재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브라운대, BMW, 미쉐린타이어, 카길(세계 최대 곡물 트레이딩업체) 등 전 세계 유수의 기관·대학·기업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스팟에 현장 관리 역할을 맡겼다. 스팟은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카메라, 유해가스 감지기 등 다양한 고성능 센서로 온산제련소 내 466개 점검 포인트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순찰하며 △설비 온도 측정과 가스 유출·누액 감지 등 위험 요소 점검 △차량 이동 잦은 구간에서 충돌 방지 △실시간 정보 공유·경보 기능 등 임무를 수행한다. 

스팟은 상시 운영이 가능해 야간·주말·휴일 등 설비 점검 취약 시간대에도 고위험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있다. 스팟이 확보한 정보는 정비체계 개선에 활용할 예정이다.

고려아연은 효과를 지켜본 위 올해 말까지 가스 중독과 질식 위험 구간을 점검하는 업무로 스팟의 역할 범위를 넓힐 방침이다. 공정 변화가 잦은 제련소 특성을 고려해 설비 구조나 배관 환경 변화를 시각적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도록 스팟에 360도 회전 카메라를 탑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외에 스팟에 열화상 카메라와 가스 정량 측정 센서 등을 추가 장착해 실시간 데이터 연동형 제어 시스템과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로써 설비 고장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 조기 경보를 할 수 있는 등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제련소'로 진화한다는 목표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스팟 도입으로 온산제련소 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선제적 위험 예방도 가능해졌다"며 "스팟 도입은 안전관리 분야 혁신을 위한 첫걸음을 뗀 것으로 앞으로도 무재해·무사고 현장 구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최신 기술을 도입해 현장 환경을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