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력 수급 안정화에 이바지할 것"

한국수력원자력이 28~29일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28~29일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 28일부터 2일간 광주 라마다플라자 호텔에서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사업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원전 탄력운전이란 전력 수요 변동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해 전력 공급·수요간 균형을 유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 회의에는 한수원 외에 한국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학계 전문가들까지 총 80여명이 참석해 해당 기술의 중요성을 논의하며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사업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도로 2025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진행되며 고급형 원자로인 APR 원전의 노심·계통 설계부터 안전 해석·운전지원 계통 설계에 이르기까지 원자력발전소 탄력운전에 필수적인 핵심 실증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한수원은 프로젝트 총괄과 세부 기술개발을 주관하며 전체 사업 운영 관리와 실증 기술 개발뿐 아니라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후 발전소 실증·인허가를 거쳐 상용화를 위한 사업화 전략 수립에 나설 계획이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정부 기관,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며 "원전 탄력운전 기술이 상용화되면 국내 전력 수급 안정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