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9.7% 감소·영업이익 152.0% 증가
中 체리기차 수주 등 유의미한 성과 달성
LG에너지솔루션은 실적설명회를 열고 2025년 2분기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은 4922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1619억 원) 대비 9.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953억원) 대비 152.0%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에 반영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 등 금액은 4908억원으로 이를 제외한 2분기 영업이익도 14억원으로 6개 분기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부사장은 "안정적인 EV향 제품 판매와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의 양산 시작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증가했지만 정책 변동성 확대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과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영향으로 매출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하지만 손익의 경우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과 프로젝트 물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효율화 등 원가 혁신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 유의미한 수주 성과를 달성하며 성장 모멘텀을 지속했다. 지난 6월 체리기차와 체결한 46시리즈 공급계약이 대표적으로 자국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중국 OEM과의 첫 원통형 수주 계약에 성공했다.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본격 양산에 돌입한 것 또한 주요한 성과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통해 북미 ESS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의 현지 생산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ESS 추가 수주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설명회에서 하반기 실적 개선을 흐름 지속을 위한 △운영 △사업 △기술 측면의 실행 과제도 발표했다.
우선 EV 수요 둔화에 대응해 ESS와 신규 폼팩터·중저가형 신규 케미스트리 양산 확대를 통해 가동률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신규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로 고정비를 감축하고 염가 소재 확보와 각 소재별 공급망 최적화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한다. 북미 시장 현지 생산 ESS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연말까지 17GWh(기가와트시), 2026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북미 현지 생산능력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유럽에서는 중저가 EV 수요에 맞춰 하반기 폴란드 공장에서 고전압 미드니켈(Mid-Ni), LFP 등 경쟁력 있는 제품 양산을 시작한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축적된 역량과 내실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며 "끊임없는 도전·변화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현한다면 다시 없을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