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저가공세·국내 건설경기 침체에 수요 하락
포스코·현대제철, 美 현지 생산 전략 속도 붙을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이미 공급 과잉, 건설 경기 침체, 중국산 저가 공세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5일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캐나다가 22.7%로 미국 국가별 철강 수입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다. 이어 브라질이 15.6%, 멕시코가 12.2%다. 한국은 9.7%로 4위로 집계됐다.
관세 정책은 자국 업계를 중국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조치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멕시코와 베트남 등을 통해 철강 제품을 미국에 우회로 수출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행보라는 평가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자국 수요를 저가 중국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관세율 인상으로 국내 철강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시장은 지난해 물량 기준 일본과 인도에 이은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업체별 대미 수출 비중은 포스코가 2~3%, 현대제철이 3~4%, 세아베스틸이 5% 미만 정도로 추정된다.
관세율이 50%까지 오르면 가격 경쟁력이 현지와 비교할 때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미국 수출 비중이 적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일각에선 미국 정부가 관세율을 올리면 중국 입지 약화에 따른 한국 등 국가에 점유율 확보 차원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미국 외 시장으로 눈을 돌린 중국 공세가 심화하면 국내 철강업체 경쟁력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으로는 국내 철강업계 현지화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대제철의 미국 루이지애나 일관제철소 건립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포스코는 현대제철 현지 제철소 건립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 방식으로 참여한다고 밝힌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현지화를 가속하는 것이 맞을 수 있겠지만 여력이 있는 업체가 많지 않고 현지화를 추진하는 업체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응책 마련에 힘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