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카드 CI.
삼성카드 CI.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카드에 대해 수익성과 건전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한다고 9일 밝혔다.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잔액 기준 조달비용률은 2026년 하반기에 가서야 개선되는 가운데, 자산건전성 관련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다만 선별적 영업력 강화로 개인 신용판매(신판) 이용금액이 확대되는 부분은 긍정적"이나 "영업외적으로는 기취득 자사주 7.9%에 대한 소각을 비롯한 처분 계획이나, 밸류업 방안에 대한 내용이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적개선이 요원한 상황에서 회사측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삼성카드의 올 1분기 순이익은 1758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4%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는 기존 한국투자증권의 추정치 대비 8% 상향 조정된 수치로, 개인 신판 이용금액의 견조한 성장 때문이다. 

1~2월 삼성카드의 개인 신판 이용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하며 카드업계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전체 카드업계의 신용카드 승인금액 성장률은 3.3%, 개인카드 승인금액 성장률은 1.9%에 그쳤다. 

백두산 연구원은 "지난 4분기부터 선별적으로 마케팅을 강화한 결과, 자동차 구매, 세금 납부, 여행 관련 업종에서 이용금액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1분기 신판 성장률은 일시불 7.6%, 할부 16.0%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전망이 제시됐다. 2월 14일부터 영세·중소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평균 가맹점 수수료율이 약 2bp(1bp=0.01%포인트) 하락했기 때문이다. 또한, 선별적 마케팅 강화로 회원 유치 및 가맹점 관련 마케팅 비용이 크게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대손율은 2.38%로 전년 동기 대비 34bp 하락하며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백 연구원은 "은행권 가계대출 취급이 타이트한 상황에서 카드대출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다"며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적용되는 3분기 이후에도 적정 수준의 카드대출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과 음식·숙박업 등 자영업자의 채무 상환 여건 악화는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됐다.

양성모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