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P·GPUaaS로 행정·공공기관 맞춤 서비스 제공

삼성 SDS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존의 모습./사진=삼성 SDS
삼성 SDS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존의 모습./사진=삼성 SDS

삼성SDS는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에서 운영되는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연달아 수주했다고 4일 밝혔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사업은 민간 클라우드 기업이 정부의 데이터센터 공간 일부를 임대해 행정·공공기관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행정안전부 '온나라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과 경기도소방학교 '스마트 소방 교육·관리 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을 수주했다. 

두 사업 모두 공공분야 업무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시범 프로젝트로 온나라시스템은 지식·커뮤니티·전자문서·메일·영상회의 등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공무원 등이 사용하는 업무시스템이다. 삼성SDS는 지식·커뮤니티 등 일부 시스템을 SCP로 전환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 교육·관리 시스템은 경기도소방학교 교육 운영 혁신을 위해 교육 대상자의 거주지·근무지와 관계 없이 다양한 소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삼성SDS는 SCP로 시스템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동시에 향후 전국 소방교육기관 공동 운영을 위한 기반 환경 구축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에 구축된 삼성SDS의 SCP는 국가기관 전용 기반시설과 보안 인프라 환경을 이용하며 인터넷망과 행정업무망·공공업무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운영한다. 이 외에 삼성SDS는 '구동형 GPU 서비스'(GPUaaS)를 제공해 생성형 인공지능(AI)를 활용하고자 하는 행정·공공기관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SCP와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 업무협업 솔루션 브리티웍스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행정·공공기관 업무의 하이퍼 오토메이션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