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인수해도 해외 재매각 어려워져
고려아연 "기간산업 보호" 명분 강화
정부가 고려아연이 가진 이차전지 양극재 핵심 원료인 전구체 제조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인정했다.
고려아연과 MBK 파트너스·영풍 연합이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고려아연은 이를 '국가기간 기업 보호' 명분을 강화하는 논거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은 경제안보상 이유로 정부 승인이 있어야 외국 기업에 인수될 수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려아연이 신청한 특정 전구체 제조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한다고 확인 통보했다. 국가핵심기술은 '해외 유출될 경우 국가 안전보장 및 국민 경제의 발전에 중대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기술'로서 정부의 특별 관리 대상이다.
고려아연은 MBK 연합과의 경영권 분쟁이 격화하던 지난 9월 24일 산업부에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인정해달라고 전격 신청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고려아연이 중국 등 외국에 자사가 매각되기 어렵게 만들어 궁극적으로 재매각을 통한 이익 실현을 추구하는 사모펀드 MBK의 사업 구상에 타격을 가하는 한편,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 산업을 뒷받침하는 핵심 국가기간 기업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의 행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고려아연이 가진 이차전지 전구체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인정돼 정부는 향후 외국 기업에 의한 인수합병을 승인할 권한을 갖게 됐다.
고려아연의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기술은 자회사 켐코와 공동으로 가진 기술이다. 양극재를 만드는 전 단계 물질인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적절한 비율로 섞은 화합물을 말한다. 여기에 추가로 리튬을 추가하면 양극재가 되는 것이다.
하이니켈 전구체는 니켈 비중이 80% 이상 높은 전구체이다. 니켈 비중이 높으면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고려아연은 올해 하반기부터 정부가 발주한 '2024년도 소재부품 기술개발 사업' 중 '저순도 니켈 산화광 및 배터리용 고순도 니켈 원료 소재 제조 기술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10개 산학연 기관과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