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대출도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사이 130조원 늘어 주요국 가운데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다. 연체율도 함께 올라 금융기관 부실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2018년 말 1121조3000억원에서 2019년 말 1207조8000억원, 2020년 말 1393조6000억원, 2021년 말 1580조7000억원, 지난해 말 1797조7000억원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말과 비교하면 불과 3년 반 만에 52.6% 급증했다.
이는 주요국과 비교해도 매우 빠른 속도다.
국회예산정책처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대출 비중은 한국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19.6%로 2019년 대비 18.3%포인트 상승해 비교 가능한 국가 중 상승폭이 가장 컸다.
예산정책처는 "금리가 급등하면서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은 기업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업대출이 급증하는 한편으로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2019년 말 84.27%에서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에 이어 2022년 말에는 92.13%로 상승했다.
은행 월별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내내 0.3% 수준을 유지하다가 올해 1월 0.4%로 상승한 뒤 지난 4월과 5월에는 0.5%까지 올라갔다.
예산정책처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증한 기업대출은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연체율이 추가로 더 올라간다면 늘어난 기업대출이 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용보증기금 등의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상존한다"고 우려했다.
김신회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