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올해 말 금리 예상치 5.6% 제시…연내 두 번 정도 인상 의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이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그는 "연내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위원이 없다"며 "연내 금리인하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이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그는 "연내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위원이 없다"며 "연내 금리인하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해 3월부터 약 15개월 사이 10차례 연속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린 연준이 이번에는 건너뛴 것이다.

그러나 물가안정 차원에서 올해 하반기 금리를 더 인상하는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입장도 강력하게 드러내 사실상 추가 긴축 조치가 예고됐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종료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만장일치에 따라 기준금리를 5.00~5.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연준은 성명에서 "목표 금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추가 정보 및 정보의 정책적 함의에 대해 FOMC가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FOMC는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금리동결은 일시적인 조치로 앞으로 물가 동향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dot plot)에서는 0.25%포인트를 뛰어넘는 금리인상이 시사됐다.

FOMC 위원들의 금리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의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가 5.6%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이는 3월 전망치(5.1%)보다 높은 것이다. 베이비스텝 기준으로 올해 하반기 두 번 정도 금리가 인상될 것임을 의미한다.

점도표에서 내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는 4.6%, 2025년 말 전망치는 3.4%를 기록했다.

점도표상에서 FOMC 위원 개개인의 전망을 보면 위원 18명 가운데 9명이 올해 말 금리를 5.50~5.75%로, 2명이 5.75~6.00%로 봤다. 6.00~6.25%를 꼽은 위원도 1명 있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14일(현지시간) 금리인상을 일시 중단하고 인플레이션 억제에서 진전이 보이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자 뉴욕 주식시장이 변동하며 결국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14일(현지시간) 금리인상을 일시 중단하고 인플레이션 억제에서 진전이 보이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자 뉴욕 주식시장이 변동하며 결국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 동결 뒤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거의 모든 FOMC 위원이 연내 추가 금리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연내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위원이 없다"며 "연내 금리인하는 부적절하다"고 덧붙였다. 물가안정에 최우선 순위를 둘 것이라는 뜻이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려면 갈 길이 멀다"고 우려했다.

연준이 6월 금리인상을 쉬어가기로 결정한 것은 지난 1년여 동안의 금리인상 효과가 아직 충분히 스며들지 않은데다 은행위기 여파에 따른 신용긴축 현상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파월 의장은 설명했다.

그는 "긴축의 전체 효과가 아직 체감되지 않고 있다"며 "특히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효과를 실감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거운데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목표치인 2%의 배 이상이다.

파월 의장은 근원 물가가 크게 내려가고 노동시장이 더 진정돼야 긴축 기조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파월 의장이 연준 부의장으로 지명한 필립 제퍼슨 연준 이사는 FOMC 회의 전 논평에서 금리인상을 건너뛰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발표될 더 많은 데이터를 기다리며 향후 전망에 대해 평가할 여유가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번에 금리인상을 건너뛸 수 있으나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높은데 금리인상을 중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반응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