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가격 급락·LG, TV 수요 위축 등 영향
4분기도 경기 악화 지속으로 개선 기대 어려워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 사진=연합뉴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과 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시장의 눈높이보다 낮은 3분기 성적표를 내놨다.

7일 삼성전자는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3분기 매출액이 76조원, 영업이익은 10조8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2.7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1.73%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작년 3분기 처음으로 매출 70조원을 돌파한 뒤 올해 1분기까지 역대 최고 매출 행진을 했지만 2분기부터 내림세다. 영업이익은 2019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질 쳤다. 최근 지속해서 낮아진 시장 예상치를 8%가량 밑도는 수치기도 하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이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반도체가 부진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3분기 반도체 영업이익을 6조원 정도로 보고 있다. 지난 2분기 10조원에 육박했고 앞서서도 8조~9조원가량의 영업이익을 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급격히 악화한 것이다. 전방 수요 위축과 함께 반도체 가격이 급락한 영향이다. 스마트폰(MX)과 디스플레이, 가전은 전 분기 수준을 유지하거나 웃돌면서 선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의 실적은 내년 초까지 부진을 벗어나기 힘들 전망이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실적 감소는 내년 1분기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며 "업계 전반의 과도한 재고 수준과 IT 세트 수요 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4분기 매출은 3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영업이익은 9조원대로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 여의도 LG전자 사옥 /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LG전자 사옥 / 사진=연합뉴스

LG전자는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한 21조1714억원을 기록하면서 분기 최대 매출을 냈다. 영업이익은 7466억원으로 25.1% 증가했다. 하지만 8조원대 중후반이었던 시장 예상을 밑도는 것이다.

또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3분기 GM 전기차 관련 충당금을 반영한 영향이 크다. LG전자는 당시 4800억원가량의 리콜 충당금을 반영했다.

LG전자는 수요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LG오브제컬렉션 등 프리미엄 제품이 호조를 보이면서 생활가전(H&A) 부문이 양호한 성과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TV를 담당하는 홈엔터테인먼트(HE) 부문은 유럽에서의 판매 축소로 적자가 확대되고 전장 부문은 완성차 업체의 가동률 회복으로 흑자 규모가 커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LG전자도 실적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펜데믹 이후 가전, TV 등 내구재 수요 둔화와 연말 성수기 유통채널의 구매 축소, 보수적 재고 정책 등은 실적 개선의 부담 요인"이라며 "4분기는 B2B 사업인 전장 부문을 제외한 사업부 영업이익이 소비심리 위축 영향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