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심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패러다임 대전환 주도"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연구개발(R&D) 콘트롤타워인 남양연구소 전경 /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연구개발(R&D) 콘트롤타워인 남양연구소 전경 /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가 2025년까지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 전동화·친환경,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에 대한 투자를 집중해 그룹 미래사업 허브로서 한국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현대차그룹은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미래 성장의 핵심축인 전동화 및 친환경 사업 분야에 16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순수 전기차를 비롯해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및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서는 PBV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고성능 전동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시설 구축 등에 집중투자할 계획이고 이를 통해 라인업 다양화, 배터리 및 모터 등 PE(Power Electric) 시스템 고도화, 1회 충전 주행거리 증대 기술 개발 등 통합적인 제품 경쟁력 향상을 추진한다.

차세대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내 2025년에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체계에서 개발된 승용전기차 플랫폼 eM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일 계획이다.

수소 사업은 승용, 버스, 트럭 등 차세대 제품과 연료전지시스템의 효율 개선 및 원가절감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동시에 전용 부품 연구시설 인프라를 확충한다.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AI 등 미래 신기술 개발에는 8조9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로보틱스는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 로봇, 모바일 로봇 기술 및 모델을 개발한다. 로보틱스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에서 사업화하기 위한 본격적인 실증 사업에도 나선다.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 및 핵심 기술 내재화,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에 속도를 낸다.

커넥티비티 분야는 차량 제어 기술 무선 업데이트(OTA), 제어기 통합, 서버 음성 인식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 등 미래 스마트 카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 고도화에 집중한다.

자율주행 분야는 차량 제어기, 라이다와 카메라 등 센서를 비롯해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 시 비상 상황을 대비한 리던던시(이중안전기술) 시스템 등 레벨4 자율주행 요소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인다. 로보라이드 등 로보택시와 로보셔틀은 상용화를 대비한 도심 실증 사업을 이어간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PBV, 로보트럭·셔틀 등 디바이스 콘셉트 모델 및 실물 개발을 추진하고 AI는 미래 신사업을 뒷받침할 소프트웨어 기술을 내재화한다.

내연기관 차량의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에는 38조원이 투입된다. 또 현대차·기아는 내연기관 제품 라인업을 최적화하고 현대모비스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되는 부품 품질 향상에 집중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 집중 투자해 한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미래 신사업·신기술과 전동화 투자는 물론 기존 사업에 대한 투자로 차별화된 제품과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대전환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