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침체, 내수부진 등 성장둔화 리스크 대응
시장선 지준율·정책금리 인하 등 추가 완화 기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실물경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나섰다. 보다 분명한 목표 아래 통화정책을 더 전향적으로 운용하겠다는 것이다. 성장둔화를 막기 위한 추가 통화완화 가능성을 분명히 한 셈이다.

2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전날 웹사이트에 낸 성명에서 통화정책 수단을 예방적으로 쓰는 일이 많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통화정책의 양적, 구조적 수단을 잘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인민은행은 시장 유동성을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며, 소기업과 친환경기업, 첨단기술기업 등 특정 그룹에 대한 지원책도 거론했다.

이번 성명은 인민은행이 지난 24일 이강 총재 주재로 소집한 통화정책위원회 정례회의 결과를 담은 것이다.

인민은행은 특히 에버그란데(헝다)그룹 사태로 위기에 처한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책 의지를 재강조했다. 부동산 부문의 건강한 성장을 촉진하고 주택구매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주택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인민은행은 그동안 전면적인 통화부양에 소극적인 입장이었다. 고속성장을 뒤받침했던 통화부양 공세가 부채를 급격히 늘리며 좀비기업(한계기업)을 양산했고, 자산시장 과열을 부추기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켰다고 판단한 결과였다. 더욱이 시진핑 지도부는 지속 성장을 위한 경제구조개혁을 위해서는 성장둔화를 어느 정도 용인할 수 있다는 의지가 강했다.

인민은행은 최근 적극적인 부양 기조로 돌아서고 있다. 이달 초 시중은행들의 지급준비율(지준율)을 인하해 1조2000억위안(약 224조원)의 유동성 공급 효과를 낸 데 이어 지난 20일에는 20개월 만에 처음으로 정책금리 가운데 하나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마저 낮췄다. 

이달 초에는 소기업 등에 대한 재대출금리를 인하하기도 했다. 중국의 신용증가세가 지난달 거의 1년 만에 반등했는데도 돈풀기 조치가 잇따른 셈이다.

인민은행이 성명에서 거론한 중앙경제공작회의의 내수경제 평가에서 그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중국 최고 경제정책 결정체인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앞서 내년 경제운용 방침을 정하면서 중국 경제가 직면한 3개의 충격으로 ①수요위축 ②공급혼란 ③기대저하를 들었다.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시사한 대로 내년에 추가 완화 조치를 엿보고 있다. 지준율 추가 인하는 물론이고, 정책금리를 더 낮출 수도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내년에도 계속 중국 경제에 부담을 줄 것 같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인민은행이 내년에 통화완화 기조를 강화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기조와 맞물려 위안화는 약세 압력에 시달릴 수 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