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국제금융시장에서 주목하는 이슈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변동률 추이/자료=FRED

①美 7월 CPI 진정, 中 7월 PPI 추가 하락 여부

▶11일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지난 6월 시장 예상과 달리 5.4%(전년대비) 추가 상승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으나 7월에는 시장 예상(5.3%)대로 진정될지 주목.

-근원 CPI도 6월 4.5% 상승한 후 7월 소폭이지만 반락할지 관심. 12일 발표될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월 10년 반 만에 최고 수준인 7.3%로 상승한 후 향방에 관심.

▶9일 중국 7월 PPI 발표. 지난 6월 8.8%(전년대비)로 그간의 상승세에서 소폭 반락한 가운데 추가 하락 여부에 관심. 7월 CPI는 전월(1.1%)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 가능성.


②英 2Q GDP 플러스 전환 예상. 러시아·말레이시아도 큰 폭 플러스 가능성

▶12일 영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 지난 1분기 -1.6%(전분기대비)로 3개 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보였으나 금번에는 경제개방 영향으로 4%대 플러스 전환 예상.

▶13일 러시아 2분기 GDP는 지난 1분기 -0.7%(전년대비)에서 5개 분기 만에 큰 폭 플러스 가능성. 말레이시아 2분기 GDP도 전분기 -0.5%(전년대비)에서 4개 분기 만에 10%대 플러스 전환 예상.

-10일 독일 8월 ZEW 경제 심리지수는 전월 63.3에서 3개월 연속 하락할 가능성.


③연준 인사들 연설. 터키는 금리인하, 멕시코는 금리인상 여부 관심

▶8월 하순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연설이 예정. 경제∙물가 평가, 테이퍼링에 대한 실마리를 가늠.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9일 포용경제, 11일 연준 역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10일 물가) 등.

▶12일 터키(정책금리 19.0%), 필리핀(2.0%), 멕시코(4.25%)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 터키는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 금리인하에 나설지 관심. 멕시코도 지난 6월 한 차례 인상 이후 금번에도 추가로 인상할지 관심.


④IPCC 기후변화 특별보고서. 美 농무부, 세계곡물수급전망 발표

▶유엔 산하 기관인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IPCC)는 9일 기후변화 관련 특별보고서(Climate Change 2021) 발표.

-지난달 26일부터 수백명의 전문가들이 지구온난화∙온실가스 영향 및 전망을 논의. 이번 보고서는 각 정부 및 산업계에 도래할 위협 제시.

▶미국 농무부는 12일 8월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발표. 최근 이상기후 증가로 인한 주요 곡물 작황 차질, 팬데믹 재확산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 최근 곡물가격 상승, 생산국 전략 변화 등에 따른 전망 및 영향이 포함될 전망.


⑤MSCI 분기 지수조정 결과 발표. 주요국 백신접종자 입국·이동 허용

▶MSCI는 11일 분기 지수조정 검토를 통해 개별종목 편출입을 발표. 관심은 최근 상장 대형종목의 편입 여부와 SK텔레콤의 비중축소 또는 편출에 따른 영향.

▶9일 캐나다는 백신접종 미국인 입국을 허용. 홍콩도 주요국의 백신접종자 입국 조치를 완화. 프랑스는 9일부터 논란이 되고 있는 공공장소에서의 백신 패스 제도를 시행.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