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3일 FOMC에서 0.25%포인트 인상 전망
일각에선 내년 네 차례 인상 가능성도 제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국내 통화정책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연준은 12~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이변이 없는 한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상할 전망이다.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다. 현재는 기존 1.00~1.25%에서 1.25~1.50%로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 기준금리(1.50%)와 상단이 같아진다.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한은은 내년 통화정책 셈법은 복잡해진다. 한은의 통화정책에 있어 경기상황이나 인플레이션, 가계부채 등도 물론 중요하지만 미국의 영향 또한 막대하다. 지난달 한은이 6년 5개월 만에 인상에 나선 것도 미국에 대비한 선제 조치였다는 평가가 다수다.
더 큰 문제는 미국이 내후년 말 기준금리 3.00% 이상의 경로로 내달릴 때다. 이번 FOMC에 한은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도 그 이유에서다. 내년 한미 양국 정책금리 역전은 피하기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금리 역전은 금융불안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 방치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현재 한은은 추가 인상 여건이 녹록지 않다. 당장 내년 4월 차기 총재 인선에 6월 지방선거까지 대기하고 있는 탓이다. 기준금리는 경제상황에 따라 결정되지만, 비경제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적지 않은 한은 인사들이 내년 상반기까지는 인상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다.
앞서 일각에서는 공화당의 대규모 감세안의 경제 효과를 반영해 내년 이후에는 금리 인상 속도를 더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세제개편안의 의회 처리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연준도 경제전망에서 감세가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골드만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세제개편안은 미국의 성장률을 0.3%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연준의 경제전망에는 세제개편안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경제 전망은 9월보다 더 낮은 실업률과 견조한 GDP 성장률 개선세를 제시할 것”이라면서 “두 가지의 개정은 빠른 속도의 통화정책 정상화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물론 네 차례의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아직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0%)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차기 의장직을 맡게 되는 제롬 파월 지명자가 급격한 긴축 전환에 조심스러운 입장이기 때문이다. 만약 미국이 내년 인상 기조를 조금 늦춘다면 한은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내년 세 차례의 인상 기조는 시장과 괴리가 크다”면서 “연방기금금리선물에 반영된 인상 기대는 내년 1~2회, 내후년 1회 정도”라고 분석했다.
한국시간으로는 14일 새벽 연준의 FOMC 정례회의 결과가 나온다. 한은은 이날 이른 아침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개최하고 머리를 맞댈 계획이다. 범정부 차원에서도 거시경제금융회의가 이뤄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