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업무 자동화하는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도입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등 알파키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등 알파키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에 워크플로우 스튜디오를 비롯한 신규 기능을 추가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기업이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에서 직원 계정과 권한을 보다 쉽게 관리하고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진행됐다.

알파키는 직원의 신원·인사 정보를 기반으로 업무용 계정과 접근 권한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LG유플러스의 ID 관리 서비스(IDaaS)다. 양자내성암호와 동형암호 기술을 적용해 보안을 강화했고 입·퇴사자 정보에 따라 권한을 자동 부여·회수해 관리 효율을 높인다.

해외 IDaaS 솔루션들이 기능별로 세분화된 복잡한 요금제를 운영하는 것과 달리 알파키는 단일 요금제로 싱글 사인온(SSO), 다중 인증(MFA), 계정 생명주기 관리 등 핵심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알파키 기본 기능만으로도 기업의 계정 전반을 관리할 수 있고 고객사 운영 효율·보안성을 동시 확보할 수 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능은 워크플로우 스튜디오로 코드 작성 없이 규칙만 설정하면 입사자 계정 생성, 부서별 프로그램 접근권한 설정, 장기 미접속 계정 정리 같은 반복 작업을 자동 처리한다.

알파키는 API 연동 기능을 통해 기업의 IT 시스템 통합 환경을 지원한다. API 연동 기능을 활용하면 업무 시스템에서 알파키의 계정 관리 기능을 직접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리스트 조회, 권한 부여, 계정 생성 등 알파키의 주요 기능이 API로 제공돼 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통합 업무 시스템 안에서 알파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보안 강화를 위한 MDM 연동 기능도 추가한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승인한 기기만 로그인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기기나 등록되지 않은 개인 스마트폰·노트북은 접속 단계에서 자동 차단된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은 "알파키는 기업의 복잡한 계정과 보안 관리 체계를 자동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번에 추가되는 노코드 기반의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API 연동, MDM 연동 기능은 운영 효율성과 보안 수준을 동시에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