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최초 PBV 생산 기지…맞춤형 생산 방식 및 친환경 기술 도입
기아가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전용 공장인 화성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본격 가동하고 미래형 PBV 생산 허브 구축에 나선다.
기아는 14일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에 위치한 오토랜드 화성에서 이보 플랜트 이스트 준공식 및 이보 플랜트 웨스트 기공식을 열었다. 김민석 국무총리, 문신학 산업통상부 1차관 및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송호성 기아 사장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기아 화성 이보 플랜트는 축구장 42개 크기인 30만375㎡ 부지에 설립된다. 기아는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R&D) 비용으로 약 4조원을 투입했다. 이곳에서 연 25만대의 PBV가 생산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이보 플랜트 이스트는 9만9976㎡ 규모 부지에 건설돼 PV5 연산 10만대 수준이다.
이보 플랜트 웨스트는 2027년 가동 예정으로 13만6671㎡ 규모 부지에 세워지며, PV7을 비롯한 기아의 대형 PBV 모델을 연 15만대 가량 생산할 예정이다.
기아는 파트너사들과 함께 특화 모델을 개발하는 PBV 컨버전 센터도 운영한다. 6만3728㎡ 규모로 조성돼 PV5를 활용한 오픈베드, 탑차, 캠핑용 차량 등을 제작한다. PV7 등을 활용한 후속 컨버전 모델도 개발 및 생산할 예정이다.
이밖에 기아는 오토랜드 화성에 있는 유휴 국유지를 활용해 50MW(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에 투자해 재생에너지 100% 사용 달성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또 차체 공정의 경우 무인운반차량(AGV) 등이 도입된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도입했다.
도장 공정은 탄소와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건식부스 운영 등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기존 공장 대비 약 20% 줄이도록 설계됐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기아는 경상용차(LCV) 시장의 전동화 전환을 기회로 삼아 PBV를 미래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의 전기차 지원 정책과 연계하여 2026년부터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생산 예정인 기아 전기차 451만대 가운데 58%에 달하는 263만대를 국내에서 생산하는 등 국가산업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