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9일 '시즌오프&세일' 행사 진행…30일까지 올해 마지막 정기세일
300여개 이상 브랜드 참여…오직 신세계百에서 만날 수 있는 단독상품도
이른 한파에 고객 몰려 매출 '쑥'…최대 60% 할인·점포별 행사 ‘대방출’
신세계백화점이 이른 한파에 겨울 고객 선점을 위한 정기세일에 돌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오는 14일부터 30일까지 전국 13개 점포에서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연다. 특히 정기세일 초반인 14일부터 19일까지는 '시즌오프&세일' 행사를 진행한다.
올 가을은 지난달부터 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면서 고객들이 서둘러 겨울 옷 장만에 나선 것이 특징이다. 이에 힘입어 지난 10월 한 달간 패션을 포함한 백화점 대부분의 장르에서 전년 대비 20~30%가량의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러한 훈풍을 정기세일로 이어가며, 겨울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시즌오프&세일 행사에서는 300여개 이상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60% 파격 할인·신세계백화점 단독 상품 등을 내세워 풍성한 혜택을 선보인다.
먼저 세일의 초반부를 이끌 선봉장은 슈즈 컬렉션이 맡는다. 추워진 날씨에 방한 구두나 부츠 등 겨울용 슈즈 수요가 급증했다. 10월 슈즈 카테고리의 고객 수는 전년 대비 약 25% 신장하는 등 인기 고공행진을 벌였다. 이에 14일부터 닥스 구두, 미소페, 바바라 구두, 소다, 탠디 등 5개 브랜드가 신세계와 협업한 '윈터 슈즈 컬렉션'을 단독 공개한다.
닥스 구두의 카프스킨 니트 콤비 앵클 부츠, 탠디의 청키 퍼 워커 등 오직 신세계백화점에서만 장만할 수 있는 방한 상품을 준비했다. 또한 30~40% 할인된 합리적인 가격대를 형성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젊은 층에게 인기 있는 해외 컨템포러리 브랜드도 대거 이번 행사에 합류했다. 먼저 13일부터 질스튜어트, 마쥬, 산드로, 바네사브루노, 르몽생미셸(14일~) 등이 시즌오프 행사를 시작한다. 이들 브랜드는 인기 제품을 최대 20~3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
스포츠 브랜드 중에서는 젝시믹스가 최대 60% 세일과 함께 구매 금액별 추가 할인 혜택을 제시하며, 11월 말까지 안다르, 스케쳐스, 미즈노 등도 10~50% 할인된 가격으로 고객을 끌어들일 예정이다.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브라운브레스, 커버낫, 후아유 등도 10~30% 저렴해진 가격으로 정기세일에 합류했다.
이밖에도 닥스, 마에스트로 등 남성 패션은 10~40% 세일에 참여하고, 다이아미, 미꼬 등 주얼리/워치(10~50%)와 닥스 스카프 등 잡화(10~20%)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해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들을 공략한다.
정기세일 기간 동안 점포별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돼 있다.
강남점 지하 1층 선큰 행사장에서는 모피 릴레이 대형행사를 진행한다. 지난 11일부터 윤진모피 특집, 오는 21일부터는 동우모피 특집을 만나볼 수 있고 블랙그라마 밍크 및 세이블 재킷을 단독가 또는 최대 80% 할인가로 제공한다.
강남점 4층 브릿지 및 B1층 선큰 행사장에서는 17일부터 시즌오프 및 전년도 상품을 모아 최대 50~80% 할인 판매하는 '겨울 부츠 페어'가 열린다. 고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앵클부츠나 롱부츠 등 상품을 올해 최대 물량으로 기획했다.
부산 센텀시티에서는 14일부터 20일까지 어뉴골프, MU스포츠, 미즈노 등이 참여하는 '골프웨어 대전'이 진행된다. 이 행사는 골프화는 물론 캐디백, 의류 등 시즌오프 및 전년 이월 제품을 최대 70% 할인한다.
구매 혜택도 풍성하다. 19일까지 진행되는 '시즌오프&세일' 행사 참여 브랜드에서 신세계 제휴카드로 30만원 이상 결제 시 사용할 수 있는 2만원 쿠폰을 신세계백화점 공식 애플리케이션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또한 원터 슈즈 컬렉션을 출시하는 5개 브랜드를 대상으로는 신세계 제휴카드로 20만원이상 결제시 사용가능한 1만원 쿠폰도 추가로 제공한다.
더불어 이번 달 말까지 신세계 제휴카드를 사용해 명품/패션/잡화 단일 매장서 200만원 이상 결제 시 7% 신세계백화점 리워드를 돌려주는 사은 행사도 진행된다.
신세계백화점 선현우 패션담당은 "정기 세일의 시작으로 '시즌오프&세일' 대규모 행사를 준비했다"며 "겨울 상품을 합리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