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은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까지 5년간 110조 원 규모의 생산적·포용적 금융을 공급하겠다고 9일 밝혔다.
신한금융은 93~98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과 12~17조원의 포용적 금융을 통해 경제 저성장 구조를 혁신하고 민생 회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생산적 금융 공급 계획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투자, 그룹 자체 초혁신경제 금융지원 10~15조원, 기업 대출 72~75조원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반도체·에너지·지역 인프라 등 국가 전략산업에 10조 원 규모의 파이낸싱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인프라에 5조원,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사업에 5조원을 지원하고 데이터센터·신재생에너지 개발펀드 1300억원도 조성했다.
포용적 금융 측면에서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중금리 대출 확대, 개인사업자 대상 신용대출 서비스 도입 등을 추진한다. '브링업 & 밸류업', '헬프업 & 밸류업' 등 상생금융 프로그램도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지난 9월 '생산적 금융 PMO'를 신설해 그룹사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했으며 견조한 재무 구조와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자본 건전성과 성장 간 균형을 유지할 계획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부동산 중심의 금융구조를 혁신하고 금융의 본질을 강화해 산업 전환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며 "실물경제 지원을 확대하고 초혁신경제 프로젝트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한 금융 선도 모델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