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자금 직접 투입으로 부담 커
정부, AI·반도체·바이오 등 집중 육성
정부는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출범시키며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청년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펀드의 핵심 자금원인 은행권이 적극적 참여를 위한 희망사항을 제시하면서 성공적 운용에 대한 과제도 남겨두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대한민국의 첨단 전략 산업과 그 생태계 전반을 집중 지원하고 육성해 미래 성장 동력과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국민성장펀드는 공공 75조원과 민간 75조원으로 구성된 초대형 펀드다. 주요 투자 분야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에너지, 고속통신, 반도체, 바이오, 조선, 콘텐츠 등이다. 기존 담보 중심 대출에서 벗어나 직접 지분 투자와 장기 투자 및 융자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큰 변화다.
국민성장펀드의 40% 이상은 비수도권에 투자돼 지방 청년들에게도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지역에 투자하는 기업들에게 필요한 각종 지원을 최대한 풀어드릴 것"이라며 "여러분의 기업 투자와 국민성장펀드 투자가 결합해 지역이 성장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성장펀드의 절반은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분담되는 가운데 생산적 금융을 강조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에 따라 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이 펀드의 핵심 자금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은행권은 국민성장펀드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들 차원에서는 해당 펀드의 의의와 취지를 이해하고 동참은 하겠지만 위험가중자산이나 자본비율에 있어 은행들이 부득이하게 피해를 볼 수 있다"며 "은행 본연의 업무는 대출이기 때문에 투자를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나 인센티브가 동반되기를 원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정부 주도 정책펀드는 고객 자금을 모으기만 했다면 이번 펀드는 은행들의 자금을 직접 투자하기 때문에 조금 고민이 있는 부분"이라며 "국민성장펀드는 하나의 재테크 수단이 될 수는 있겠지만 고객들의 기존 수단보다 더 선호되기 위해선 세부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