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응석 교수 이끄는 치매센터와 기술 효용성 검증
치매에 퇴행성 뇌 질환까지 R&D…"미래 헬스케어 선도"

(오른쪽 두 번째) 강태현 국일그래핀 대표이사와 (맨 오른쪽) 채승진 상무가 지난 25일 대전 중구 대전광역치매센터에서 (왼쪽 두 번째) 오응석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 허채정 하드사이언스 대표와 협약 체결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SM그룹
(오른쪽 두 번째) 강태현 국일그래핀 대표이사와 (맨 오른쪽) 채승진 상무가 지난 25일 대전 중구 대전광역치매센터에서 (왼쪽 두 번째) 오응석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 허채정 하드사이언스 대표와 협약 체결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SM그룹

SM그룹의 제조부문 계열사 국일그래핀은 지난 25일 대전광역시 중구 대전광역치매센터에서 센터장인 오응석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그래핀 기반 치매 진단기술 개발 임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일그래핀이 보유한 그래핀(초경량·고전도·고강도 특성을 갖춘 복합소재) 바이오 진단(센싱) 기술과 오 교수의 의학적 임상 전문성을 접목해 치매 초기진단 기술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상용화에 속도를 내기 위해 추진됐다. 

국일그래핀은 현재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의 응집 상태를 그래핀의 광학적 변화로 분석하는 등 기술력 제고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협약·임상을 계기로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고 전국 치매 관련 네트워크를 확대·강화해 시장 진입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충남대병원 외에 국내 유명 의과대학 두 곳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준비 중이다. 임상 검증과 시제품 개발 등을 거쳐 오는 2027년에 양산품을 선보인다는 목표다.

강태현 대표이사는 "충남대병원 대전광역치매센터와의 파트너십으로 치매 진단기술의 상용화에 속도를 붙이고 그래핀 응용과 관련한 헬스케어 산업의 트렌드도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치매뿐 아니라 퇴행성 뇌 질환까지 연구개발(R&D) 범위를 넓혀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 건강에 기여하는 기업으로 거듭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국일그래핀은 담배 필터용 박엽지, 스테인리스 강판지 등 특수지를 생산하는 국일제지의 100% 자회사로 그래핀 등 신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지난 2018년 설립됐다. 현재는 그래핀을 활용한 치매 진단기술 특허를 출원하는 등 관련 소재·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