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모듈 재활용 사업 등 솔루션 소개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국내 최대 기후 관련 전시회로 '인공지능을 위한 에너지&에너지를 위한 인공지능'(Energy for AI & AI for Energy)이라는 주제로 AI 시대의 에너지 기술을 조망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화큐셀은 AI 기술 발달과 데이터센터 건설 등으로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재생에너지 솔루션을 제시한다. 수면이나 농경지 상부와 같은 유휴부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해 국토 면적이 넓지 않은 우리나라에 적합하다고 평가되는 수상형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솔루션 등이 대표적이다.
한화큐셀은 에너지 인프라 존을 마련하고 일반 상업용 모듈보다 내구성·친환경성을 강화해 고온다습한 수상 환경에서도 성능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수상형 모듈을 전시한다. 국내 실증단지에 설치된 바 있는 한화큐셀의 영농형 모듈도 선보일 예정이다.
기후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에너지 기술개발 존에는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셀'을 전시해 한화큐셀의 첨단 에너지 기술 역량을 보여준다. 탠덤 셀은 시중 실리콘 셀의 이론적 한계효율인 29%보다 약 1.5배 높은 44%의 이론적 한계효율을 지녀 태양광 에너지 경제성을 높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외에 한화큐셀은 국내외에서 적극 전개하고 있는 에너지 컨설팅 서비스, 자원순환 등 사업 영역도 소개할 계획이다. 에너지 컨설팅 존에서는 국내 발전사업자와 AI 기술 발달과 데이터센터 건설 등으로 전력 수요가 커진 기업을 직접 전력구매계약(PPA)로 연결하는 에너지 컨설팅 사업 모델이 전시된다.
에너지 자원순환 존에서는 한화큐셀이 자원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미국에서 지난 6월 출범한 태양광 모듈 재활용 브랜드, 에코리사이클 바이 큐셀의 사업 현황을 소개한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재생에너지는 기후위기의 고조와 AI 시대 도래와 맞물려 전 세계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박람회에서 에너지의 생산, 소비, 그리고 자원순환까지 아우르며 보다 넓어진 한화큐셀의 글로벌 사업 영역을 상세히 소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