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토크콘서트' 개최…AI 확산 앞장 선언
개발·판매, 마케팅까지 업무 전반 AX 추진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AX 토크콘서트'에서 AX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사진=LG전자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AX 토크콘서트'에서 AX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사진=LG전자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이제는 인공지능 전환(AX) 속도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AI)을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최고확산책임자'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최근 조 CEO가 AX를 주제로 열린 구성원 소통행사 'AX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이처럼 AX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LG전자는 '완전히 디지털화된 LG전자'를 AX 비전으로 제시하고 2~3년 내 현재 업무 생산성을 30%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주요 영역에서 추진되는 AX 사례들도 소개됐다. AI로 연구개발(R&D)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한 자체 생성형 AI 데이터 시스템 '찾다'(CHATDA, CHAT based Data Analytics)가 대표적이다. 찾다의 AI 기반 데이터 분석 기능을 통해 기존에 3~5일 정도 소요되던 데이터 탐색 시간이 30분 정도로 줄었다.

올해 초 인도에서는 냉장고 문을 자주 여는 생활패턴을 반영해 일부 냉장고에 '위생·신선 기능'을 추가했다.  브라질에서는 '소량급속 코스'의 UX 순서를 앞으로 배치한 세탁기 제품을 출시했다. 브라질 고객의 세탁 빈도가 잦고 세탁량은 적은 사실을 찾다로 확인하고 제품에 적용한 결과물이다.

LG전자는 맞춤형 제품에 대한 고객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AI 기술을 활용해 원하는 제품군을 안내하는 등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해 상담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고객 접점인 판매 매니저가 고객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축해 갈 계획이다.

업무용 AI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는 '엘지니'의 활용 방법과 개발 방향도 소개됐다. 지난 2018년 처음 선보인 엘지니는 복지 안내나 규정 확인, 전표 처리 등 단순 업무를 지원하던 수준에서 AI 기술 접목으로 LG전자의 핵심 디지털 자산으로 발전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의 엑사원을 기본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AI 서비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 다양한 생성형 AI가 접목돼 업무 지식 검색, 문서 요약, 코드분석과 보완, 정보 해석 등 실무 중심의 고도화된 기능까지 지원한다.

앞으로도 LG전자는 엘지니를 'AI와 함께 일하는 방식'을 만들어 가는 스마트 파트너로 키우며 공통업무 보조를 넘어 영업·마케팅, 공급망관리(SCM) 등 고도화된 전문역량이 필요한 영역까지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