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캡' 실증으로 산업별 IoT 확산
중소 단말 개발사 상용화 지원

인천 송도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IoT기술지원센터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레드캡 기술로 연결된 드론을 시험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인천 송도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IoT기술지원센터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레드캡 기술로 연결된 드론을 시험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한국전파진흥협회(RAPA)·퀄컴·뉴젠스 등과 5G 경량 사물의 인터넷(IoT) 기술 '레드캡' 상용화와 국내 5G IoT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단말 검증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레드캡은 단말 기능을 간소화해 비용은 낮추면서도 산업 현장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IoT 기술 규격이다. 

RAPA는 전자파기술원 내 IoT기술지원센터(인천 송도)에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내 최초 통신사 상용망 수준의 특화망 단말 검증 체계를 마련했다. 이곳에서 중소 단말 개발사들은 신속하게 단말 성능을 시험하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레드캡 기술 실증의 초기 기획부터 기술 자문, 시험 환경 제공까지 전방위 지원에 나서며 5G IoT 생태계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퀄컴은 레드캡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와 칩셋 개발을 선도해온 핵심 기업으로 이번에는 LG유플러스와 상용·특화망 환경에서 레드캡 기술 검증·연동 시험을 수행한다. 뉴젠스·에릭슨은 레드캡 특화망 네트워크 기술 개발·지원으로 국내 산업 현장에 적합한 IoT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국내 최초 통신사 주도 특화망 레드캡 실증은 저지연·고신뢰 통신환경이 자율이동로봇과 드론의 안정적인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5G 레드캡 동글과 연동해 기존 와이파이·LTE 기반 관제 환경과 실시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LG유플러스는 스마트팩토리, 물류로봇, 산업용 센서 등 다양한 현장에 IoT 활용을 확대해 기업 고객의 비용 부담을 낮추고 레드캡 기반 특화망 서비스로 산업별 IoT 시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 랩장은 "5G IoT 확산의 핵심 기술인 레드캡 기반의 특화망 실증으로 중소 단말 개발사의 상용화 지원과 산업용 IoT 생태계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