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화재
사진=삼성화재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어린이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을 크게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연구소는 행정안전부, 교육부,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4월 28일부터 5월 16일까지 3주간 전국 17개 초등학교 435명을 대상으로 'App기반 어린이 보행안전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삼성전자가 AI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보행안전 앱 '워크버디(Walk Buddy)'가 활용됐다. 이 앱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자제 알림, 보행 중 위험요소 실시간 감지 및 안내, 일일 교통안전수칙 퀴즈 풀이 등의 기능을 탑재했다.

캠페인 분석 결과 참여 어린이 중 54.0%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경고알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하루 평균 4.9회 경고알람이 울렸으며, 평일(5.6회)이 휴일(3.7회)보다 1.51배 높았다. 평일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도 56.6%로 휴일(49.7%)보다 1.14배 높게 집계됐다.

캠페인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앱 설치 초기 1일 6.5회였던 경고알람 횟수가 3주 후 5.0회로 22.8% 감소했다. 시범학교 3곳 앞 교차로에서 실시한 현장조사에서도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어린이 비율이 13.7%에서 8.9%로 35.3% 줄어들었다.

연구소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시 시각능력이 저하돼 전방 주시율은 15% 감소하고 시야폭은 56% 줄어든다. 청각능력도 떨어져 전방 소리 인지거리가 50% 감소하며, 보행궤적상 좌우이동 편차가 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어린이 보행사고는 증가 추세다. 2023년 어린이 보행사고 사상자는 2694명으로 2020년 대비 26.2% 늘었다. 같은 기간 성인은 4.9%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에 따르면 전체 어린이의 77.6%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임채홍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폰 사용률이 증가한 만큼 보행 중에도 메시지를 보내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행동이 많아졌다"며 "이 경우 주변 인지능력이 저하돼 위험상황 대처가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그는 "위험한 습관을 갖게 되면 이를 바로잡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에 어릴 때부터 안전한 보행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워크버디와 같은 기술들을 통해 최소한의 안전은 확보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문화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