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핵심과제 고급화에 더해 단절 극복과 연결성 회복"
회사 자산인 용산역과 지하철·역사·공원·상업시설 권한 활용할 수 있는 유일한 사업자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입찰에서 서울시의 '연계' 지침에 부합하는 '통합 연결형 개발전략'을 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용산역을 중심으로 주거와 오피스, 상업시설, 역사, 공원, 지하 인프라 등을 입체적으로 연결하는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용산역 일대는 주거와 오피스·상업시설 등이 밀집해 있지만 역과의 단절로 인해 업무시설 및 상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2020년 8월 준공된 용산역 인근의 센트럴파크는 서울교통공사가 2020년부터 매각을 시도했으나, 최근 9번의 시도 끝에 낙찰됐다. 매각금액도 처음보다 60억 낮춰 성사됐다. 주변 용산역과 신용산역이 연결이 되지 않아 매각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분석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역 아이파크몰 △용산역전면 공원지하개발 △용산철도병원 부지개발 등의 개발권한과 운영자산을 총동원해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과 용산역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유일한 민간사업자다. 최근에는 서울시와 용산 국제업무지구의 개발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
이같은 통합 실행계획은 서울시가 공공성과 도시 연계성 확보를 위해 '용산정비창 도시개발구역 기본구상'(서울시, 2022) 및 공모지침서에서 '용산역 광장, 신용산역, 한강로, 철도부지, 공공보행축과의 유기적 연계 계획'을 수립하도록 명시한 것에 정확하게 부합한다는 평가다. 서울시의 방침은 단순히 단지 내부의 고급화를 넘어 도시 전체와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추진 중인 '용산역전면 공원 지하공간 개발사업'이 GTX-B정거장 이전 계획에 따라 사업의 범위가 더 확대되는 것도 호재다. HDC현대산업개발은 현재 용산역과 신용산역(4호선) 단절로 인한 이용객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2개의 역사를 지하통로로 연결할 계획이다.
회사는 이를 감안해 주거와 비주거시설의 분양면적 5651평을 추가로 확보했다. 이를 통해 조합안 대비 약 3755억원의 분양수익을 늘렸고, 조합원 분담금은 줄였다. 미분양시 대물변제라는 파격적인 조건도 내걸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용산정비창의 핵심 과제는 단지 고급화에 더해 단절 극복과 연결성 회복"이라며 "HDC산업개발은 아파트, 오피스텔, 상업시설, 업무시설 모두를 대물변제하고, 서울시 지침에 따라 글로벌 개발 전략과 연계된 통합개발안을 제안한 만큼 사업의 적임자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편,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재개발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에서 추진되는 약 1조원 규모의 초대형 도시정비사업으로 지하 6층부터 지상 38층 규모의 초고층 빌딩 12개동과 아파트 777가구, 오피스텔 894실, 상업 및 근린생활시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