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일 MBK 부회장·조주연 홈플러스 대표는 출국 금지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달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달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 채권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의혹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병주 MBK 회장에 대해 출국 정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는 최근 법무부를 통해 김 회장을 출국 정지 시킨 것으로 파악됐다. 그동안 김 회장이 줄곧 해외에 머물렀던 만큼, 최근 귀국한 그를 상대로 원활한 수사를 진행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김 회장과 함께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는 출국 금지 조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출입국관리법은 범죄 수사를 위해 출국이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외국인에 관해선 일정 기간 동안 출국 정지를, 우리나라 국민에 대해선 출국 금지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김 부회장과 조 대표와 달리 김 회장은 미국 국적이어서 내국인에게 적용되는 출국 금지가 아니라 출국 정지를 내린 것이다.

앞서 검찰은 지난 17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김 회장에 대해 곧바로 압수 수색을 집행했다. 지난달 28일 김 회장의 주거지 등을 압수 수색한 이후 두 번째 강제 수사로, 김 회장은 영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하는 과정에서 수사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 경영진 등이 신용등급 하락을 알고 법정관리 신청을 계획한 이후에도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기려 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조사 중이다. 검찰은 두 회사 경영진이 지난 2월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미리 통보받고도 당일 신영증권 등 국내 증권사를 통해 채권 약 820억원을 판매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 등이 끝나는 대로 조만간 김 회장과 김 부회장, 조 대표를 불러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