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과 악성 앱 서버 탐지·분석 공조
현장서 거액 송금 직전 고객 구제

카드 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LG유플러스와 서울경찰청의 공조 체계 로드맵./사진=LG유플러스
카드 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LG유플러스와 서울경찰청의 공조 체계 로드맵./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서울경찰청과 함께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로 보이스피싱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직접 방문해 피해를 막았다고 2일 밝혔다.

현재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제어 서버를 포착하기 위해 자체 고객피해방지분석시스템을 가동해 실시간 탐지를 진행하고 있다. 탐지 결과를 주기적으로 전달받은 경찰은 금융보안원 등과의 검증·분석을 거쳐 악성 앱 설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시민을 방문해 피해를 막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월 말 업계 최초로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서울경찰청의 방문 현장을 시범 동행했다. 새로운 범죄 수법을 파악해 실질적인 고객 피해 예방 방법을 찾기 위함으로 서울 마포·서대문구 등에서 진행된 현장 방문을 통해 악성 앱을 검출·삭제하고 고객 피해를 막았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현장 동행 결과 최근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이 빈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될 것이라는 안내에 피해자가 당황할 때 보이스피싱 조직이 휴대전화에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며 피해자에게 직접 '원격 제어 앱'을 설치하게 해 악성 앱을 심는 방식이다. 보이스피싱 조직이 피해자에게 112, 1301(검찰), 1332(금융감독원) 등에 직접 신고할 것을 유도하지만 고객이 어디로 신고해도 전화는 범죄 조직에게로 향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현장 방문 경험을 토대로 보이스피싱 조직이 쉽게 탈취할 수 없는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악성 앱 의심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24년 서울경찰청 등 협조로 인공지능(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에 업계 최초로 적용한 보이스피싱 탐지 시나리오를 한층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첫 현장 방문 성과를 바탕으로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서울경찰청과의 공조 체계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은 "서울경찰청과의 공조를 통해 새로운 수법을 접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기회를 얻게 됐다"며 "보이스피싱 상황을 알리는 체계를 고도화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경험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