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거품 우려 불구, 전문가들 “4차 산업혁명 대비 기초 체력 마련해야”

최근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이 주요국에 비해 뒤쳐진다는 평가가 나온 가운데 올해 들어 관련주들의 흐름 또한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신성장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을 늘리고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등 방안을 마련,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확인하기엔 시간이 걸릴 전망이어서 관심이 모아진다.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의 기반인 디지털, 생물학, 물리학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융합함으로써 기업들의 작업 경쟁력을 높이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다. 3D 프린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유전공학 등의 주요 기술이 융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핀테크(Fintech) 열풍과 더불어 렌트카 회사 ‘우버(UVER)’,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대국 등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도 급증했다. 다만 4차 산업혁명 관련주는 오히려 올해 들어 하락하며 신통치 않은 모양새다.

16일 주식시장에서 사물인터넷 관련주인 링네트는 전일보다 2.22% 하락한 4615원에 장을 마쳤다. 링네트는 IT솔루션 개발업체로서 사물인터넷 시장 확대 기대감에 지난해 말 장중 한때 5940원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올해 들어서만 15% 가까이 빠져있다.

스마트홈 트렌드와 함께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 코콤이 올해 들어 15.90% 역주행했고, 특정범죄자 위치추적,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등 플랫폼을 제공하는 엔텔스가 23.85% 하락했다. 이밖에 사물인터넷주로 꼽히는 에이디테크놀로지(-19.47%), 에스넷(-6.95%), 코맥스(-6.86%) 등도 올 들어 일제히 하락했다.

드론 관련주도 상황은 비슷하다. 드론 제조사인 이에스브이는 올 들어 16.90% 내렸다. 제이씨현시스템(-41.17%), 엠씨넥스(-36.93%), 퍼스텍(-17.37%) 등도 동반 하락했다.

이에 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주는 선방하고 있다.

인공지능 핵심 부품인 마이크로컨트롤러칩 등을 만드는 에이디칩스는 27.36% 올랐고 디에스티로봇이 44.22% 급등했다. 지능형 로봇 개발 업체를 계열사로 두고 있는 우리기술도 12.58% 상승했다. 다만 유진로봇은 27.89% 하락했다.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기간 빅데이터 관련주인 오픈베이스(48.97%), 케이엘넷(11.09%) 등도 상승했다.

또한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원격의료 사업 강화를 촉구하면서 탄력을 받은 원격의료 관련주인 소프트센(46.01%), 비트컴퓨터(11.07%), 유비케어(21.24%), 인성정보(19.68%) 등은 올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테마주의 ‘거품’에 유의해야한다고 조언한다. 펀더멘털(기초여건)이 아닌 기대감에 의존하다보니 섣불리 투자에 나섰다가는 ‘쪽박’을 찰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것. 다만 4차 산업혁명은 미래성장동력을 주도할 신산업 창출과 맞물려있다는 점에서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데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미래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미래의 고용 전반과 필요한 직무역량의 변화에 대해 개인과 기업, 정부의 선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위스계 UBS 은행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기술 수준, 교육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보호 등 5개 요소로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국가들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준비 수준은 25위에 머물러 있다.

특히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상장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 연 9.7%였지만 2011~2015년에는 1.8%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과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의 2011~2015년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보다 올라갔다.

정 연구위원은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규제 및 세제 등 측면에서 기업 친화적 방식으로 전환, 투자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며 “진입, 퇴출 장벽의 제거, 연관 산업의 자원 재분배 등 기업의 활력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 차원의 세부 정책 방향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