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탈자산 규모 십여년간 지속 증가
규제 팍팍한 여전업감독규정…"수익성 족쇄" 

AI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AI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가전제품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는 '가전 구독' 시대를 연 LG전자와 추격자 삼성전자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제2금융인 캐피탈사와 기존 렌탈 기업들도 부수업무인 렌탈 사업을 '캐시 카우'로 삼아 적극 진출하려는 모양새다. 하지만 여전업감독규정에 따른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어 캐피탈 업계는 렌탈 대상 물품의 다양화 등 대책 마련을 요구중인 상황이다.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캐피탈사의 할부‧리스 자산 규모는 81조원으로 지난해 80조원 대비 소폭 늘었다. 

할부‧리스 자산 규모는 2016년 46조, 2017년 50조원, 2018년 53조원, 2019년 59조원, 2020년 63조원, 2021년 67조원, 2022년 74조원 등 지난 십여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캐피탈사 총자산 중 할부‧리스 자산 비중은 2016년 42%에서 2022년 35.2%로 지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말과 올해 상반기까지 각각 36.9%, 37.1%로 증가 추세로 돌아섰다.

캐피탈 총자산 중 할부‧리스 자산은 최근 7~8년간 1.9배 성장해, 투자금융(대출채권‧유가증권) 2.4배 성장을 바짝 뒤쫓고 있다.

최근 업황 악화로 수익성 부진을 겪는 캐피탈사는 저마진이지만 꾸준한 이익을 내는 '할부리스' 렌탈 부문으로 사업 다각화를 꾀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렌탈업의 이같은 유망 성장세에 캐피탈 업권에서는 렌트카 외에도 다양한 물건들을 렌트할 수 있길 원하고 있지만, 현행 여전업감독규정에 따라 규제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렌트카뿐만 아니라 정수기, 안마기, 침대, 냉장고, 명품, 연구장비, 의료장비, 중장비 등까지 생활밀착형 기기들이 대거 렌탈 업계로 흡수되면서, 구독 경제 시대가 열리는 상황에서 기회를 노리겠다는 전력을 세웠지만 규제로 인해 제동이 걸린 것이다.

여전업감독규정에 따르면, 캐피탈사는 물건별 렌탈자산 잔액이 해당 리스자산 잔액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돼 있고, 1년 이하 단기 리스 불허, 렌탈 대비 운용리스 취급 범위 제한 등의 규제가 적용된다. 이는 캐피탈사가 장기 렌터카에만 집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다.

한편 코웨이 등 기존 렌탈 기업도 다양한 수익구조 확보 차원에서 렌탈 물품 확대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카드업계는 이같은 규제가 풀린 상태다. 지난 2019년 금융당국은 카드사에 대해 신사업 분야인 렌탈 사업에 대해 B2B(사업자 대상 렌탈)에 한해 대상 물건의 제한을 없애고, 리스자산 잔액범위에서 취급을 허용했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렌트카를 통한 물적금융 성장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데다, 대형 캐피탈사와 영세 캐피탈사 간의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금리 인하 환경에서 조달금리 변동으로 영세한 캐피탈사들은 자금난을 겪기 쉬운 만큼, 렌탈 대상 물건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