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1월말까지 등록 대수 전년比 54.3% 감소

지방의 한 도로에서 경유차에 대한 배출가스를 측정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방의 한 도로에서 경유차에 대한 배출가스를 측정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경유차의 등록 비중이 올해 첫 한 자리수로 떨어질 전망이다. 한때 절반이 넘는 등록 비중으로 가솔린차를 넘어썼던 경유차의 인기가 탈탄소 등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위축되는 모습이다.

6일 자동차 통계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까지 올해들어 새롭게 국내시장에 등록된 경유차(승용·상용 포함)는 총 13만2030대로 집계됐다. 28만8834대였던 전년 동기 보다 54.3%나 줄어든 수치다.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8%를 기록해 처음으로 연간 등록 비중이 한 자리 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같은 수치는 차량 구매자 10명 중 채 1명도 경유차를 사지 않는다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경유차 판매 비중이 높았던 상용차 시장에서도 경유차는 외면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 휘발유차, 하이브리드차에 이어 3위를 기록했던 차량별 등록 순위에서도 경유차는 올해들어 액화석유가스(LPG), 전기차 등에 밀려 5위로 밀려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달 말까지 올해 연료별 등록 대수는 71만9644대를 기록한 1위 휘발유차에 이어 하이브리드차(35만2307대), LPG차(14만8556대), 전기차(13만967대) 등이 각각 2~4위까지 차지했다.

한 때 높은 연비에 따른 가성비 등으로 큰 인기를 끌던 경유차는 탄소 배출 규제 분위기와 친환경차 등의 인기 증가로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실제 2016년 87만3000대에 달했던 경유차 등록 대수는 2017년 82만1000대, 2018년 79만3000대, 2019년 65만7000대, 2020년 59만6000대, 2021년 43만대, 2022년 35만대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지난해에도 30만9000대로 감소폭을 이어왔다.

전체 등록 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6년 47.9%, 2017년 44.8%, 2018년 43.4%, 2019년 36.6%, 2020년 31.2%, 2021년 24.8%, 2022년 20.8%에서 지난해 17.6%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환경 규제에 따른 제조사들의 생산 감소에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등) 새로운 선택지가 많아진 소비자들의 외면까지 겹쳐진 것이 경유차 감소의 주된 이유"라며 "경유차 운행에 대한 불편함 느끼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어 앞으로도 감소폭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배충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