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투자자들 증시 회귀"
"랠리 시작될 것"…"활발한 M&A도 주가 강세 요인 될 것"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식시장의 주요 주가지수가 3% 안팎으로 급등하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통령 선거 승리에 화끈하게 응답했다.
대다수 업종이 2% 넘게 오른 가운데 금융 업종은 6% 넘게 폭등하며 트럼프 2기 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08.05포인트(3.57%) 폭등한 4만3729.9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6.28포인트(2.53%) 급등한 5929.04,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44.29포인트(2.95%) 뛴 1만8983.47에 장을 마쳤다.
이날 다우지수는 2020년 4월 6일 이후 하루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상승률로 따지면 2022년 11월 10일 이후 최대다.
소형주 위주의 러셀2000지수는 5.84% 폭등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자국 기업 보호를 우선시하며 내수 진작에 힘쓸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경기순환적 중소기업의 수혜가 예상됐다.
초박빙이 예상됐던 제47대 미 대선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압승으로 싱겁게 끝나면서 불확실성도 조기에 해소됐다.
이에 증시 참가자들은 새로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을 가늠하며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 위주로 투자했다.
대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증시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경제 전문 인터넷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데이비드 코스틴 수석 미국 주식 전략가가 이끄는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은 이런 모멘텀이 지속되는 데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고 밝혔다.
첫째,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선거 연도에는 대체로 연말 수익률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골드만삭스는 역사적으로 선거일 이후 연말까지 S&P500지수가 중간 수익률 4%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다면 S&P500지수는 약 6015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22배의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을 반영하는 것이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은 "선거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최근 경제성장의 탄탄한 데이터 및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하가 미 증시의 건전한 단기 전망을 뒷받침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미 국채금리 급등이 선거 후 랠리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이미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10월 한 달 4.4% 넘게 상승했다.
일부에서는 이와 관련해 트럼프 2기의 재정정책 방향에 대한 채권 트레이더들의 우려로 보고 있다.
사실 트럼프 당선인은 날로 증가하는 국가부채 문제에 대해 명확한 정책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증시가 국채금리 상승을 강한 경제적 신호로 인식해 무시해왔다고 언급했다.
둘째, 투자자들이 주식 비중을 재조정하면서 증시는 더 오를 듯하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선거 기간 중 주식 비중을 줄였다. 최근 몇 주 동안 헤지펀드는 순레버리지와 총레버리지를 모두 감소시켰다.
이제 불확실성 해소로 투자자들이 시장으로 다시 유입돼 S&P500지수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셋째, 골드만삭스는 트럼프 2기 정부 밑에서 기업공개(IPO)와 기업 인수합병(M&A)이 활발해져 주가를 추가로 떠받치게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최근 몇 년간 M&A를 제약해온 규제가 트럼프 2기에는 느슨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업 신뢰도와 현금지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내다봤다.
내년 4조달러(약 5600조원) 규모의 지출이 주주에 대한 보상과 성장 투자로 배분될 듯하다.
골드만삭스는 "현금 M&A 모델에 따르면 올해 15% 감소한 뒤 내년 20%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탄탄한 경제와 주당순이익(EPS) 증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금융 환경, 억제된 증시 변동성이 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산운용사 야누스헨더슨인베스터스의 마크 핀토 미국 주식 총괄도 "트럼프 당선인이 법인세 인하, 규제 완화, 미국 내 성장에 유리한 산업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 모든 것이 미 경제에 더 많은 자극을 제공하고 위험자산을 지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2016년 대선 때도 S&P500지수가 대선 직전날부터 연말까지 펼쳐진 이른바 ‘트럼프 랠리’ 덕에 거의 5% 상승했다"며 "이번에도 비슷한 추세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