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 사진=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 사진=연합뉴스

고려아연이 일반공모 유상증자 추진과 관련 논란에 대해 자사주 공개매수가 끝난 이후 검토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고려아연은 입장문을 통해 "현재 저희가 진행하고자 하는 일반공모 증자 추진 과정에서 일부 문제가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조심스럽게 밝힌다"고 말했다.

고려아연은 "지난 상황을 설명드리면 고려아연의 자사주 공개매수 진행과 관련해 당시 시장에선 공개매수 종료 이후 주가가 공개매수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고 특히 22일과 23일 매수물량은 자사주 공개매수에 응할 수 없어 22일부터 주가가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며 "하지만 22일부터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유동물량 부족으로 인한 시장불안정성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거래량 감소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었다"며 "여기에 MSCI 지수 편출 가능성까지 높아지는 등 부작용이 매우 커지게 되면서 긴급하게 해당 사안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실사보고서에 14일부터라고 기재된 것은 자기주식 공개매수 기간동안 자사주 공개매수에 따른 차입금 처리와 관련해 저금리의 부채조달을 위한 증권사와 한 회사채/CP 등 부채조달 방안을 검토한 것이 잘못 표기된 것이라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자료가 공개된 상장법인이라 회사채 발행 등 부채조달 실사 결과를 유상증자 실사에도 거의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증권사가 기존의 심사결과를 사후적으로 증자에 활용하면서 14일부터 유상증자 실사를 한 것으로 신고서에 착오 기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자자들에게 이런 불편한 오해를 초래한 점에 대해 양해를 구한다"며 "실제 사실관계를 당국과 시장에 정확하고 성실하게 설명, 논란을 적극 해소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적대적 M&A 과정에서 주식시장에 여러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상장기업으로서 여러 리스크 요인들이 커지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진심으로 모든 분들께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