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사진=고려아연.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사진=고려아연.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이 불거지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가 회사의 반도체 황산 공급 및 품질 유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고순도 황산은 웨이퍼 표면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필수 소재다. 순도가 낮은 황산은 반도체 성능과 수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고려아연은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반도체 업계가 고려아연이 생산하는 반도체 황산 공급 및 품질 유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고 밝혔다. 최근 고려아연은 주요 고객사로부터 '반도체 황산 공급 및 품질 유지 요청서'를 받았다.

한 고객사는 요청서를 통해 "반도체 제품 및 공정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산 품질에서 특이점이 발생 시, 반도체 생산 및 품질관리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고려아연 반도체 황산의 안정적인 공급과 품질 유지를 요청한다"고 전했다.

고려아연과 장기간 유지해온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해당 고객사는 "오랜 기간 동안 (고려아연의) 꾸준한 증설 등 안정적인 공급, 협업, 품질 투자로 당사와 동반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국내에서 고순도 황산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곳은 고려아연의 온산제련소다. 온산제련소는 반도체용 황산을 포함해 연간 총 140만톤(2023년 기준) 황산을 생산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공급한다.

고려아연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반도체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황산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고려아연도 이에 발맞춰 반도체 황산을 미래 사업으로 낙점하고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반도체 업계가 경영권 분쟁 사태를 우려해 고려아연으로부터 받는 황산 물량을 조정해 국내외 다른 업체로 공급처를 다양화할 경우 핵심 수요처는 사라지고, 고려아연은 회사 차원에서 큰 손해를 입을 뿐 아니라 주주가치도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영풍은 "(고려아연은) 마치 고객사들이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반도체 황산의 품질 저하 및 공급 차질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자료를 냈는데, 최근 고려아연에 품질 유지 요청서를 보낸 기업의 취지는 경영권 분쟁과는 무관했다"고 반박했다.

영풍은 이어 "해당 기업에서는 10월 중순쯤 고려아연 공장 내 정전 사고로 인한 자체적인 공정상 문제가 발생해 반도체 황산의 품질 저하가 있었고, 이에 고려아연 측에 통상적으로 품질 유지를 요청하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것이라고 알려왔다"고 설명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