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며 통화정책 긴축기조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국은행은 11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50%에서 0.25%포인트 내린 3.25%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38개월 만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월 기준금리를 3.5%로 인상한 뒤 13차례 연속 동결로 긴축 기조를 이어왔다.
이날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는 최근 1%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 민간 소비·투자 등 내수 침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전망대로 2%에 수렴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한 명분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에 1.6%를 기록하며 지난 2021년 2월(1.4%)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국제유가 및 농수산물의 가격이 급등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달 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성장 부진도 기준금리 인하의 이유로 꼽힌다. 지난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분기보다 0.2% 역성장했다. 이는 2022년 4분기 이후 최저치로 2023년 1분기부터 이어진 성장 기조는 다섯 분기 만에 깨졌다. 민간 소비가 0.2% 감소했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각 1.2%, 1.7% 축소됐다.
미 연준의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 결정도 한은의 부담을 덜어줬다. 지난달 18일 미 연준은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에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